임대료 인상률 연 5% 이내 제한…안정적 주거 가능
정부가 전세사기 근절을 위해 특별단속과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지만, 시장에선 여전히 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수요자들 사이에선 안정적인 주거 대안을 찾으려는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다. 이 중 하나로 공공지원 민간임대가 주목받고 있다.
6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전세보증금 반환 사고 건수는 지난 2021년 2976건에서 2023년 1만5665건으로 3년간 5배 이상 급증했다. 사고 금액은 3조원을 넘어섰다.
전세사기에 대한 불안감이 여전한 가운데 공공지원 민간임대로 눈을 돌리는 수요가 늘고 있다.
공공지원 민간임대 아파트는 최대 10년 동안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장기 임대가 가능하며, 임대보증금 반환 리스크가 사실상 차단돼 있다는 점에서 전세사기 우려로부터 자유롭다.
계약 기간 동안 임대료 인상률은 연 5% 이내로 제한돼, 상대적으로 주거비 부담도 덜하다.
공공지원 민간임대는 주변 시세 대비 80~95% 수준의 임대료로 공급돼 일반 민간임대에 비해 월 임대료 부담이 낮은 편이다.
특히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는 이들 단지에 수요가 집중되며 두 자릿수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지난해 7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성사동 일원에서 공급한 ‘CIC(창조혁신캠퍼스)성사’는 118가구 모집에 8456명이 청약해 평균 71.6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해 12월 서울 영등포구 양평동1가 일원 '양평동 동문 디 이스트' 역시 평균 432.73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분양업계 한 전문가는 “전세 사기와 전세보증금 반환 사고에 대한 불안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임대 기간과 임대료 인상이 명확히 규정된 공공지원 민간임대 아파트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질 것”이라며 “특히 장기 거주가 가능하고 주거 품질도 높은 만큼, 앞으로도 실수요자 중심의 수요는 꾸준히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호건설은 5월 경기도 파주시 금촌동 일원 ‘파주금촌 금호어울림’을 공급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최고 29층, 7개 동, 총 1055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이 중 전용면적 26~59㎡, 850가구를 공공지원 민간임대로 공급한다.
금성백조는 대전 유성구 관평동 일원 ‘대전 관평 예미지 어반코어’를 분양 중이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10층, 전용면적 81~84㎡, 오피스텔 총 504실 규모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