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형보다 소형” 전용 60㎡이하 아파트 수요 ‘쑥’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입력 2025.05.04 08:00  수정 2025.05.04 08:00

작년 소형 평균 청약 경쟁률 30대 1…중대형보다 4배↑

가격 부담에 과거와 달라진 양상…고급화 트렌드도 영향

27년 1·2인 가구 비중 68%…구조적인 수요 증가 예상

과거 넓은 면적의 주택을 선호하던 분위기와 달리 최근에는 가격 부담, 1·2인 가구 증가, 고급화 트렌드가 맞물리며 소형 아파트가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다.ⓒ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과거 넓은 면적의 주택을 선호하던 분위기와 달리 최근에는 가격 부담, 1·2인 가구 증가, 고급화 트렌드가 맞물리며 소형 아파트가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다.


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분양된 전용 60㎡ 이하 소형 아파트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30.2대 1로, 전용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7.4대 1)보다 약 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3년 소형 평형 경쟁률이 12.9대 1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2배 이상 급등한 수치다.


수도권에서는 국민평형이라 불리는 전용 84㎡ 분양가가 10억원을 넘어서면서 가격 부담이 적은 소형 아파트로 수요가 옮겨가는 분위기다.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1순위 청약을 접수한 단지 중 전용 60㎡ 이하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160.9대 1로 집계됐다. 이는 처음으로 전용 60㎡ 초과~85㎡ 이하 평균 경쟁률인 117.4대 1를 앞지른 것이다.


또 지난해 12월 발표된 통계청 ‘장래가구추계’를 살펴보면 2027년 기준 1~2인 가구 비중이 67.7%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소형 평형에 대한 수요가 구조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소형 아파트는 매매 거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 중 전용 60㎡ 이하 소형 거래는 총 17만6492건으로 전체의 39.2%를 차지하며 공급 비중(27.4%)을 크게 웃돌았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소형 아파트는 가격 접근성이 높고, 정부의 주택자금 대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기 쉽다”며 “직주근접을 희망하는 1인 가구나 젊은 직장인들 사이에 인기가 많아 매매와 임대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며 재판매나 임대가 용이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이달 분양을 앞둔 소형 아파트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DL이앤씨는 경기 부천 대장지구에서 ‘e편한세상 대장 퍼스티움’을 분양할 예정이다. 2개 블록, 총 1640가구 규모의 브랜드 타운으로 조성되며 이중 1099가구가 신혼희망타운 공공분양으로 공급된다.


전 가구가 전용 46·55㎡의 면적으로 구성된 점이 특징이다.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아 합리적인 분양가로 공급되며, 연 1.3% 고정금리, 주택담보인정비율(LTV) 70%,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미 적용 등의 조건을 갖췄다.


현대건설은 서울 은평구 대조1구역 재개발 사업인 ‘힐스테이트 메디알레’를 분양할 예정이다. 총 2451가구 규모 대단지로 이중 전용 51·59·74㎡, 483가구가 일반분양된다.


GTX-A 연신내역 수혜가 기대되며 불광역(3·6호선), 역촌역(6호선), 구산역(6호선) 등이 가까워 교통 편의성이 뛰어나다.


에이블피앤지는 서울 강동구 길동 일원에 전용 59㎡, 64가구 규모의 ‘디 아테온’을 선보일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철 5호선 굽은다리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인근에는 초·중·고교 10여 곳이 위치한다.


지방에서는 대방건설이 부산 강서구 범방동 일원에서 ‘부경경마공원역 디에트르 더 리버’를 공급한다. 전용 59㎡, 총 498가구로 조성되는 공공지원 민간임대 아파트다. 국제산업물류도시 내 위치하며 신항 배후도로와 가까워 인근 산업단지로의 이동이 편리하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