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바글로벌·이뮨온시아·바이오비쥬…이번주 공모주 청약

서진주 기자 (pearl@dailian.co.kr)

입력 2025.05.04 10:02  수정 2025.05.04 10:02

이달 중순에 코스피 1개사·코스닥 2개사 입성

ⓒ게티이미지뱅크

5월 둘째 주(5월 4~10일) 기업공개(IPO) 시장에서는 화장품 브랜드 ‘달바’를 운영하는 달바글로벌, 면역 항암제 개발 전문기업 이뮨온시아, 메디컬 에스테틱 기업 바이오비쥬 등 3개사가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을 진행한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뮨온시아는 오는 7일과 8일 양일간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공모 청약을 실시한다. 이후 오는 8일과 9일에는 바이오비쥬, 9일부터는 달바글로벌이 청약에 나선다.


ⓒ이뮨온시아

우선 이뮨온시아는 지난달 22일부터 28일까지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 최종 공모가를 희망밴드(3000~3600원) 최상단인 3600원에 확정했다. 총 공모금액은 약 329억원,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2628억원이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 2205곳 중 2012곳이 희망밴드 상단의 가격을, 144곳이 상단을 초과한 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상장 후 일정 기간(최대 6개월) 주식 보유를 약속하는 의무보유확약비율이 10.6%에 그쳐 상장일 기관 매도 물량이 다수 나올 수 있다.


지난 2016년 설립된 이뮨온시아는 면역항암제를 개발하는 기업으로, 2021년 중국 3D메디슨과 총 4억 7050만 달러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대주주로는 지분 66.77%를 보유한 유한양행이 있다.


이뮨온시아는 이번 코스닥 상장을 통해 확보한 공모 자금을 연구개발(R&D)에 집중 투입해 주요 파이프라인의 임상 속도를 높이고, 글로벌 기술이전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상장 예정일은 오는 19일,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바이오비쥬

다음으로 바이오비쥬가 지난달 23일부터 29일까지 수요예측을 실시했다. 수요예측 결과 희망밴드(8100~9000원) 상단인 9100원에 공모가가 확정됐다. 당시 전체 참여 물량의 100%가 상단 이상의 가격을 제시했다.


바이오비쥬는 지난 2018년 설립된 스킨부스터, HA필러 등 다양한 메디컬 에스테틱 제품을 자체적으로 개발·생산·판매하는 기업이다. 개발·생산·판매 전 공정을 자체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했으며, 각 밸류체인별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했다.


회사는 설립 초기부터 글로벌 시장을 주력 타깃으로 설정했다. 아시아 최대 시장인 중국 시장 중심으로 동남아·유럽·중동 국가 등 21개국에 유통망을 확보,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 기업으로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다만 모기업인 청담글로벌이 지난 2022년 코스닥에 상장한 만큼 중복상장인 점은 투자자 입장에서 부담 요인이다. 이와 관련해 회사 측은 “모기업과 사업 영역이 겹치지 않고, 청담글로벌 상장 당시 바이오비쥬의 실적이 반영된 부분이 거의 없다”는 입장이다.


이번 IPO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신규 GMP 설비인 2공장 증설, R&D 및 신제품 개발 투자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달 20일 코스닥 입성 예정으로, 대신증권이 상장 주관사를 맡았다.


ⓒ달바글로벌

마지막으로 달바글로벌은 오는 7일 수요예측을 마무리한 뒤 이달 9일과 12일 공모주 청약을 진행할 계획이다. 총 공모 주식수는 65만 4000주이며 주당 공모 희망밴드는 5만4500~6만6300원이다. 공모가 최고액으로 시가총액을 산정하면 약 8000억원이다.


당초 ‘비모뉴먼트’라는 이름으로 2016년 설립된 달바글로벌은 ‘프리미엄 비건 뷰티’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개척하며 시장에 진입했다. 대표 제품인 ‘화이트 트러플 퍼스트 스프레이 세럼’이 항공사 승무원들이 애용한다고 알려지면서 일명 ‘승무원 미스트’로 단기간에 급성장했다.


IPO 우려 요소로는 오버행(잠재 매도 물량)과 상장 이후 유통 물량이 거론된다.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공모 이후 반성연 대표의 지분율은 17.4%에서 16.11%로 줄고, 재무적 투자자(FI) 지분율은 67%에 달할 전망이다.


FI 지분율이 높은 구조적 리스크는 인정하지만 실적 성장, 기업가치 제고 전략으로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는 게 회사 측 입장이다. 상장 직후 유통 가능 물량은 32.73% ▲1개월 후 51.73% ▲3개월 후 67.93% ▲6개월 후에는 78.65%까지 늘어난다.


달바글로벌은 이번 IPO를 통해 오는 2028년까지 매출 1조원, 해외 매출 비중 70%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공모자금은 ▲프리미엄 신제품 개발 ▲글로벌 시장 확장 등 신규사업 진출에 전략 투입할 방침이다. 이달 22일 코스피에 입성하며, 상장 주 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서진주 기자 (pearl@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