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선 중진 일부 "김문수 빠른 결단 촉구한다"
권성동, 연휴임에도 5일 오후 7시 의총 소집
김문수측 일부 반발에도 원내서 '절대 열세'
사무총장 한 명 마음대로 임면 못하는 현실
국민의힘 4선 중진 일부 의원들이 김문수 대선 후보를 향해 오는 11일을 '단일화 데드라인'으로 설정하고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와의 조속한 단일화 결단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냈다. 국민의힘은 '한덕수파 의원'들의 거센 요구에 따라 김 후보를 향해 단일화 수용을 압박하는 의원총회도 소집한다.
김도읍·김상훈·박덕흠·윤영석·이종배·이헌승 의원 등은 5일 기자회견을 열어 "후보등록 마감일인 5월 11일 전에 단일화가 이뤄져야 한다"며 "이 시한을 넘길 경우, 투표용지 인쇄를 시작하는 25일까지 지루한 협상으로 국민들에게 외면받는 결과만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 4선 의원들은 기득권을 내려놓고 국가와 국민만을 생각하면서 신속하고 아름다운 단일화에 적극 동참하겠다"며 "김문수 후보와 한덕수 후보의 빠르고 현명한 결단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지난 3일 전당대회에서 선출돼 대선 후보가 된지 불과 이틀째인 김문수 후보를 향한 '조속한 단일화' 압박은 점점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당초 한덕수 후보 띄우기에 나섰다가 경선 판세가 심상치 않자 김문수 캠프에 가세했던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빨리 단일화 하고 이재명 잡으러 가야 한다"는 글을 올려, 자신이 지지했던 김 후보를 압박했다.
장성민 전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도 김 후보를 향해 "김 후보가 당선된 것은 개인 김문수에 대한 지지표가 아니라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를 통한 집권표심"이라며 "착각하면 안된다. 자기 힘으로 된 게 아니다. 한덕수 효과"라고 다그쳤다.
국민의힘은 연휴 중인 이날 오후 7시 예정에 없던 긴급 의원총회를 소집한다. 6일까지 연휴인데다가 이날은 지역구 관리에 긴요한 행사들이 많이 열리는 석가탄신일과 어린이날이 겹친 날이라 대부분의 의원들이 지역구에 내려가 있지만, 급히 국회로 불러들여 의총을 열기로 한 것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7시 국회본청에서 의총을 예고하며 "의원들께서는 석가탄신일 등 지역 일정을 마치고, 금일 개최되는 의총에 전원 참석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처럼 대선 후보가 되자마자 빨리 한덕수 후보와 단일화할 것을 독촉하는 움직임이 강화되자, 이에 비례해 김 후보 측의 반발 수위도 높아지고 있다.
김문수 후보의 의원실 보좌관 출신인 차명진 전 의원은 "보쌈말이 하듯 한 씨에게 후보를 갖다바치는 단일화 방법으로 정말 시너지 효과가 나겠느냐"라며 "동지들, 여러분이 선택한 김문수를 믿으라. 그의 판단과 행보를 믿어달라"고 받아쳤다.
최인호 김문수 캠프 상근부대변인도 "본인들이 판을 만들고 짜놓은 시나리오대로 김문수 후보가 움직이지 않으니 긴급의총을 하시겠단다"라며 "반(反)이재명 빅텐트를 위한 단일화는 김문수 후보를 중심으로 명분과 정당성을 가진 단일화를 진행해야 한다. 치열한 경선을 통해 선출된 우리 당의 최종 후보는 김문수"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원외(院外) 김문수 후보 지지 세력 일부의 반발이 있지만, 이 소동을 쓴웃음을 지으며 좌시하고 있는 모양새인 친한(친한동훈)계 일부를 제외하고는 원내(院內)에서 '한덕수파'가 압도적 우세를 보이고 있다.
김 후보가 대선 후보가 되면서 당무우선권을 접수했다고는 하지만, 사무총장 한 명 마음대로 임명하지 못할 정도로 원내에서 고립된 양상이다. 김 후보는 이양수 사무총장을 장동혁 의원으로 개임하는 인사안을 발표했으나, 지도부가 임명을 이행하지 않는 사이 장 의원이 고사하면서 그대로 이 총장이 유임되게 됐다.
이 총장은 유임되자마자 페이스북에 과거 김문수 후보가 경선 TV토론 당시 전당대회가 끝나자마자 한덕수 후보와 단일화를 하겠다고 대답했던 점을 상기시키며 압박 대열에 가세하고 있다.
김문수 후보는 의총 직전 입장문을 내서 "대선 후보가 수 차례에 걸쳐 사무총장 임명을 요청했는데도 불구하고, 당 지도부가 이를 이행하지 않아서 사무총장 임명이 불발된 것은 중대한 당헌·당규 위반 행위"라며 "후보가 지난 5월 3일 전당대회에서 대선 후보로 선출된 직후, 3일 안에 일방적으로 단일화를 진행하라고 요구하면서 대선 후보에 당무 협조를 거부한 점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나아가 "대선 후보가 선출된 직후부터 지금까지 지속돼온 당무우선권 침해 행위는 즉시 중단돼야 한다"며 "대선 후보가 단일화를 위해 행사하는 당무우선권을 방해해서는 안되며, 필요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