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불 포비아②] 2금융권으로 밀려난 자영업자들, '다중채무'의 늪에 빠지다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입력 2025.05.09 07:04  수정 2025.05.09 07:04

2명 중 1명은 대출 3곳 이상 다중채무자

다중채무 대출 규모도 전체의 61.3% 차지

'고금리 2금융권' 밀려난 자영업자도 1년 전보다 7.0%↑

"급속한 금융 취약계층 전락 우려…연쇄적 연체 이어질 수 있어"

지난달 25일 서울 서대문구 대학가의 상가가 비어있다.ⓒ뉴시스

자영업자의 대출 구조가 갈수록 취약해지고 있다.


전체 자영업자 대출자의 절반 이상이 3곳 이상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인 데다, 은행권에서 밀려나 2금융권에만 의존하는 자영업자 수도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강일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국신용정보원 집계 결과,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개인사업자는 336만151명이다.


이 가운데 171만1688명(50.9%)이 3곳 이상 금융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채무자가 보유한 총 대출 잔액은 693조8658억원으로, 전체 개인사업자 대출 규모인 1131조2828억원의 61.3%를 차지했다.


개인사업자 상당수가 이미 다중채무 상태다. 2명 중 1명은 3곳 이상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였고, 1금융권에서 밀려나 2금융권 고금리 대출에 의존하는 비중도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비은행권(카드사·캐피탈·저축은행 등)에서만 대출을 받은 자영업자 수는 79만2899명으로, 1년 전보다 7.0% 증가했다.


반면 은행권에서만 대출을 받은 자영업자 수는 79만3380명으로 2.3% 감소했고, 은행·비은행권을 함께 이용하는 자영업자도 177만1954명으로 2.3% 줄었다.


전문가들은 은행에서 신용도 등의 이유로 대출이 거절된 자영업자들이 고금리 2금융권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연체 가능성과 부실 위험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특히 금리 인상이 이어질 경우, 이들 고위험 대출자는 급속한 금융 취약계층 전락이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대출 분산이 심할수록 이자 부담은 가중되고, 외부 충격에 따른 상환 리스크도 커지는 만큼, 자영업자 대출은 한국 경제의 '취약 고리'가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문제는 은행에서 밀려난 자영업자들이 2금융권으로 몰리며 고금리 부담까지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자영업자들이 고금리 대출에 의존하는 구조가 고착화되면서, 단기 자금난이 장기 부실로 번질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이자 상환만으로도 버거운 상황에서 갑작스러운 매출 감소나 금리 인상 같은 외부 충격이 닥치면 연쇄적인 연체나 신용 추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현재 자영업자 대출 문제는 단순한 '개인 신용 위험'이 아니라, 소비 위축과 내수 둔화로 연결될 수 있는 시스템 리스크의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며 "정책적인 유연성과 금융권의 선제적 모니터링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빚으로 빚 갚는 서민들…'급전 창구' 카드론으로 몰린다 [신불 포비아③]>에서 이어집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