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형 헤지펀드…주식·채권·통화 등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
‘올웨더’ 전략에 수익성·안정성 ↑…“절대 수익 목표로 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이 다양한 시장 환경에 대응 가능한 공모형 헤지펀드인 ‘한국투자 UBP캠벨스마트알파’ 펀드를 출시한다고 7일 밝혔다.
‘한국투자 UBP캠벨스마트알파’는 글로벌 자산운용사이자 프라이빗 뱅크인 ‘유니온 방카르 프리베(Union Bancaire Privée·UBP)’의 ‘U Access (IRL) Campbell Absolute Return UCITS(이하 UBP 펀드)’에 60% 이상 투자하는 재간접 펀드다.
지난 2020년 출시된 UBP 펀드는 주식·채권·통화 등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해 시장 방향성에 따른 영향을 낮췄다. 포트폴리오 운용에는 ▲모멘텀 전략 ▲시스템 매크로 전략 ▲단기 트레이딩 전략 ▲퀀트 주식 전략 등 4가지가 활용된다. 이에 다양한 시장 환경에서 상호보완적 역할을 한다.
수익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알파’ 방식도 활용한다. 보유 현금 대부분을 머니마켓펀드와 단기국채 등 무위험자산에 투자하며, 무위험자산 투자금 외 현금은 금융파생상품 투자를 위한 증거금으로 이용한다.
이 외에도 위험요인을 ▲거시국면 ▲전략 ▲국가 ▲자산군 등 4개 유형으로 분류·점검해 포트폴리오 변동성과 위험 최소화를 추구한다.
이 같은 UBP 펀드 운용 전략의 우수성은 트랙레코드(투자이력)가 증명하고 있다. 해당 펀드가 처음 출시된 지난 2020년 6월 이후 올해 4월까지 누적 수익률은 60.82%에 달한다. 이는 연환산 기준 10.15%다.
같은 기간 글로벌 주식·채권 시장에서 손실률이 가장 컸던 상위 10구간(월간 기준)을 분석하면 글로벌 주식과 글로벌 채권의 10구간 평균이 각각 마이너스(-) 5.8%, -3.5%로 집계된 것과 달리 해당 펀드는 2.1%, 3.2%를 기록했다.
김태현 한국투자신탁운용 글로벌대체투자2부 부장은 “환율·금리·관세 등 리스크 요인이 다양한 현 시점에서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을 제공하기 위해 공모형 헤지펀드를 출시했다”며 “기존 헤지펀드는 최소 투자금액이 높고 진입이 제한된 사모펀드 형태였지만 이번 상품을 계기로 접근성을 향상시켰다”고 말했다.
이어 “단순한 시장 추종형 상품이 아닌 절대 수익을 목표로 운용되며, 피투자펀드는 이미 유럽에서 성과를 증명했다”며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과를 추구하는 상품인 만큼 퇴직연금 계좌에 일정 부분 포함하기 적합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한국투자 UBP캠벨스마트알파’ 가입은 한국투자증권과 유안타증권에서 가능하며, 판매사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계획이다. 해당 펀드는 환헤지형(H), 환노출형(UH), 미국달러형(USD) 등 3종으로 출시됐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