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거주 등록장애인과 상이등급 판정 받은 국가유공자 등에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
노무 관련 문제로 어려움 겪는 서울시 영세 소상공인 100명에 공인노무사 상담 무료 지원
전용 집하장 설치와 함께 통계 신고 매뉴얼 배포, 자치구별 통계 정비 및 작성 기준 일원화
1. 장애인 700명에 정보통신 보조기기 지원
서울시는 정보접근이 어려운 장애인 700여명을 대상으로 '2025년 장애인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 사업'을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이 사업은 장애로 인해 정보접근 및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에게 맞춤형 정보통신 보조기기를 제공해 정보격차 해소와 일상생활의 편의성 증진을 목적으로 마련됐다. 보급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시각, 지체·뇌병변, 청각·언어 등 등록장애인과 상이등급 판정을 받은 국가유공자 등이다.
시각장애인용 기기 62종, 특수마우스 등 지체·뇌병변장애인용 기기 23종, 영상전화기 등 청각·언어장애인용 기기 45종 등 장애유형별로 총 130종의 정보통신기기가 보급된다. 보급대상자로 선정될 경우 일반 장애인은 제품가격의 80%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장애인의 경우에는 최대 94%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2. 소상공인 무료 노무상담
서울신용보증재단은 노무 관련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서울시 영세 소상공인 100명에게 공인노무사 상담을 무료로 지원한다고 7일 밝혔다.
서울신보는 2023년부터 영세 소상공인을 위한 노무상담 프로보노 시범사업을 운영해 왔으며, 지난해 총 51개 소상공인에게 노무상담을 제공한 바 있다.
지원 대상은 서울에서 사업 중인 종업원 수 5인 미만의 소상공인이다. 노무 분야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뿐만 아니라 사전 예방 차원에서 노무 지식을 배우고자 하는 소상공인도 신청할 수 있다. 재단은 소규모 사업장에 필요한 필수 노무 지식 등을 안내한다.
3. 전국 최초 폐현수막 전용 집하장 설치
서울시가 폐현수막의 발생부터 처리까지 전 과정을 체계화해 전량 재활용을 실현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성동구 용답동 중랑물재생센터 내 폐현수막 전용 집하장(약 220㎡ 규모)을 설치했다고 7일 밝혔다.
시는 전용 집하장 설치와 더불어 통계 신고 매뉴얼을 배포해 자치구별 통계 정비 및 작성 기준을 일원화할 계획이다. 폐현수막 발생량과 재활용 통계의 정확도를 높여 투명하고 체계적인 자원관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시는 또 화학사, 업사이클링 업체, 부직포 생산 업체 등 민간 기업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지속 가능한 재활용 사용처를 확보할 계획이다. 연간 폐현수막 약 200t을 부직포 원료로 삼거나 재활용하면 처리 비용 절감과 약 530t 규모 온실가스(CO₂eq) 감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