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건설업 등록 역대 최저…건설사 160곳 폐업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입력 2025.05.07 10:16  수정 2025.05.07 10:17

공사비 급등・조기대선 변수로 ‘먹구름’

건설 공사 현장 전경.ⓒ뉴시스

건설·부동산 업황 침체 장기화로 올해 1분기 종합건설업으로 등록한 업체 수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반면 폐업 건수는 14년 만에 가장 많았다.


7일 건설산업지식정보 시스템(KISCON)의 1분기(1~3월) 건설업 등록 공고(변경, 정정, 철회 포함)에 따르면 종합 건설업에 등록 공고한 업체는 131곳으로 나타났다.


1분기 기준으로 건설산업지식정보 시스템에 정보가 공개된 2004년 이후 최저치다. 지난 분기 대비로는 2.3%,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6.3% 각각 감소했다.


1분기 기준 건설업 폐업 공고(일부 폐업·업종 전환 포함)는 올해 160건에 달했다. 2011년(164건) 이후 14년 만에 가장 많았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9.4% 증가했다.


공사비 급등과 분양시장 침체에 조기 대선 등 변수까지 겹치면서 문을 닫는 건설사가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올해 들어 신동아건설, 대흥건설 등 시공능력평가 100위 안팎의 중견 건설사와 지방 대표 건설사들이 줄줄이 법원 회생 신청을 하고 있다.


주요 건설 지표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2월 건설 수주는 총 21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9% 감소했다. 특히 공공부문 수주가 26.9% 줄며 민간 부문(-9.0%)의 감소 폭을 압도했다.


지난 2월 공공 수주는 2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28.3% 감소했다. 2월 기준으로는 2019년(2조8000억원) 이후 6년 만에 최저치다. 민간 수주는 8조4000억원으로 0.6% 소폭 증가했다.


수주가 대폭 감소한 것은 올해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1조원 가까이 줄며 공공부문 발주가 급감한 것으로 분석됐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트럼프 발 관세,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문제,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수주나 투자가 경색된 상황"이라면서 "새 정부가 들어서서 의지와 방향성이 좀 서야 하는데 현재로는 상반기까지 건설 투자나 수주 전망이 안 좋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