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 급등・조기대선 변수로 ‘먹구름’
건설·부동산 업황 침체 장기화로 올해 1분기 종합건설업으로 등록한 업체 수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반면 폐업 건수는 14년 만에 가장 많았다.
7일 건설산업지식정보 시스템(KISCON)의 1분기(1~3월) 건설업 등록 공고(변경, 정정, 철회 포함)에 따르면 종합 건설업에 등록 공고한 업체는 131곳으로 나타났다.
1분기 기준으로 건설산업지식정보 시스템에 정보가 공개된 2004년 이후 최저치다. 지난 분기 대비로는 2.3%,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6.3% 각각 감소했다.
1분기 기준 건설업 폐업 공고(일부 폐업·업종 전환 포함)는 올해 160건에 달했다. 2011년(164건) 이후 14년 만에 가장 많았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9.4% 증가했다.
공사비 급등과 분양시장 침체에 조기 대선 등 변수까지 겹치면서 문을 닫는 건설사가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올해 들어 신동아건설, 대흥건설 등 시공능력평가 100위 안팎의 중견 건설사와 지방 대표 건설사들이 줄줄이 법원 회생 신청을 하고 있다.
주요 건설 지표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2월 건설 수주는 총 21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9% 감소했다. 특히 공공부문 수주가 26.9% 줄며 민간 부문(-9.0%)의 감소 폭을 압도했다.
지난 2월 공공 수주는 2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28.3% 감소했다. 2월 기준으로는 2019년(2조8000억원) 이후 6년 만에 최저치다. 민간 수주는 8조4000억원으로 0.6% 소폭 증가했다.
수주가 대폭 감소한 것은 올해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1조원 가까이 줄며 공공부문 발주가 급감한 것으로 분석됐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트럼프 발 관세,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문제,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수주나 투자가 경색된 상황"이라면서 "새 정부가 들어서서 의지와 방향성이 좀 서야 하는데 현재로는 상반기까지 건설 투자나 수주 전망이 안 좋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