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개미 4월 평균 수익률 -2.1%…반도체 ETF 주목

서진주 기자 (pearl@dailian.co.kr)

입력 2025.05.08 09:27  수정 2025.05.08 09:28

카카오페이증권, 美 투자자 4월 수익률·구매금액 상위종목 분석

반도체 레버리지·인버스 상품, 나란히 순위권…시장 전망 엇갈려

변동성 확대 국면 속 고위험 상품 활용…20~50대 공격적 투자 나서

ⓒ카카오페이증권

올해 4월 반도체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레버리지(정방향)와 인버스(역방향) 상품이 나란히 상위권에 올라 반도체 업종을 둘러싼 시장 전망이 여전히 엇갈리는 양상을 보였다.


카카오페이증권은 8일 자사 플랫폼을 통해 미국주식을 거래한 사용자들의 4월 평균 수익률과 구매 금액 상위종목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전체 사용자 평균 수익률은 마이너스(-) 2.1%로, 전월(-2.8%) 대비 소폭 개선됐다.


구매 금액 상위종목 1위에는 ‘ICE 반도체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3배 추종하는 ‘SOXL(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배 ETF)’가 이름을 올렸다. 전월 대비 6계단 상승한 셈이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불거졌던 반도체 관세 우려가 일부 해소되자 투자심리가 회복된 것으로 풀이된다. 반도체 하락을 3배 따르는 ‘SOXS(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베어 3배 ETF)’도 4위에 진입해 업종에 대한 상반된 전망을 반영했다.


테슬라는 여전히 구매 순위 상위권을 유지했다. 특히 올해 3월까지 하락세를 그렸으나 4월 들어 전환점을 맞으면서 매수 심리가 이어졌다. 테슬라의 수익률은 9%대로 반등했고, 테슬라 주가를 2배 추종하는 ETF인 TSLL도 8%대 수익률을 기록했다.


반면 테슬라 주가가 하락하면 수익을 얻는 TSLQ와 TSLZ는 각각 마이너스 40%대 수익률로 큰 손실을 안았다. 3월의 ‘하방 포지션’ 전략이 녹록지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연령대별 투자 성향을 살펴보면 변동성 확대 국면 속 고위험 상품이 적극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20~30대 사용자들의 평균 수익률은 -2.4%로 전체 평균(-2.1%)보다 낮았다. 이들은 SOXL, SOXS, TSLL, TQQQ 등 고위험 파생형 상품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며 시장 변동성을 활용한 운용 전략을 이어갔다.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투자 성향을 보여온 40~50대 역시 SOXL, SOXS, TQQQ 등 파생형 상품 구매를 늘리며 투자 전략에 변화를 꾀했다. 또한 ▲테슬라 ▲엔비디아 ▲팔란티어 ▲아이온큐 등 개별 기술주에 대한 지속적인 매수세를 유지했다. 이들의 평균 수익률은 -1.6%로 전 연령대 중 가장 선방했다.


카카오페이증권 관계자는 “4월은 반도체 섹터가 핵심 투자 대상으로 떠올라 ‘섹터 전환’이 나타났다”며 “SOXL과 SOXS가 나란히 상위권에 오른 점은 방향성에 대한 확신보다 변동성 장세에서 분산 전략을 구사하는 투자자들이 증가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서진주 기자 (pearl@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