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회생이 먼저다 [기자수첩-유통]

이나영 기자 (ny4030@dailian.co.kr)

입력 2025.05.08 14:36  수정 2025.05.08 15:44

내수 부진에 미국발 관세 전쟁까지 대내외 불확실성↑

책임 추궁보단 회생이 '우선', 골든타임 중요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회원들이 지난 7일 서울 서초구 중앙지검 정문 앞에서 홈플러스 사태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과 MBK 김병주 회장의 즉각 소환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뉴시스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인한 미국과 중국 간의 힘겨루기가 이어지면서 미국과 중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이미 바닥까지 와있는 내수경기에 그야말로 엎친 데 덮친 격이다. 경기에 민감한 건설업과 유통업이 가장 먼저 영향을 받고 있다.


6개월 동안 85개 건설사가 회생절차를 신청했고 티몬, 위메프, 발란, 홈플러스 등 이름만 대면 알만한 유통기업들이 연달아 회생신청을 하고 있다.


거래 기업이 많아 전후방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큰 유통업은 경기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최근 회생절차가 개시된 홈플러스에서 일하는 직원만 2만명이다. 또 수 천 개 거래처와 그 가족들까지 고려하면 적어도 10만명의 생계가 홈플러스에 달려있다.


이처럼 홈플러스가 문을 닫게 되면 그 피해는 주주와 채권자에게서 끝나지 않는다. 이것을 막고자 홈플러스 회생절차를 승인한 것으로 회사가 수 많은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라는 점과 전후방산업에 끼치는 영향이 큰 대형 유통회사가 도산할 경우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는 점이 고려됐을 것이다.


일단 회생절차에 들어가면 채권단은 일부라도 채권을 돌려받는 것이 아예 못 받는 것 보다는 났기 때문에 채무 조정에 나서게 된다.


거래업체들은 이미 납품한 상품 대금을 지급받고 향후 판로를 유지하기 위해 상품을 계속 납품한다. 이처럼 회생절차가 개시됐다는 것은 한계상황에 와있는 기업을 재건해 영업을 지속하는 것이 채권자들은 물론 그 기업의 직원과 거래기업 등 모두에게 가장 최선의 선택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홈플러스의 경우 조금 상황이 다르다. 회생절차가 시작됐는데도 회사 재건이라는 목적은 오간 데 없고 어떻게든 주주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만 남았다.


여기에는 과거 IMF 당시 론스타의 먹튀 논란으로 인한 PE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한 몫 했을 것이다. 홈플러스의 주주가 아시아 최대 PE인 MBK이기 때문이다. 또한 레버리지를 활용한 PE의 사업방식에 대한 국내 수용도가 서구 여타 국가들과는 다른 부분도 작용했을 것이다.


그러다 보니 주주와 홈플러스를 하나로 보고 대주주가 경영책임을 넘어 무한책임을 져야 한다는 분위기다. 홈플러스의 대주주가 PE가 아니었어도 지금과 같았을까?


주주인 MBK에게 책임이 없다는 것이 아니다. 대주주인 MBK가 경영실패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경영 실패에 대한 책임은 피할 수 없다.


문제는 모두가 책임론에만 매몰되어 어떻게 하면 홈플러스를 다시 살릴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관계당국과 정치권 등 누구도 관심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막상 홈플러스의 회생은 점점 멀어져 가는 상황이다.


감정이 앞서 중요한 부분을 놓쳐서는 안 된다. 지금은 10만명의 생계가 달려있는 홈플러스의 회생이 우선이다. 모두가 냉철하게 홈플러스의 회생방안을 고민하고 과감하고 빠르게 실행에 옮겨야만 한다.


모든 일에는 골든타임이 있다. 특히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있는 대형 유통기업인 경우에는 더 말 할 필요가 없다.


홈플러스의 경우 다행히 지급불능까지 가지 않은 상태에서 회생절차가 시작돼 조금 더 시간이 있을 뿐, 마냥 여유 있지는 않다. 최대한 빨리 재정비를 통해 다시 살아날 수 있는 길을 찾아야만 한다. 자칫 머뭇거리다 시기를 놓칠 경우 청산한 것 보다 더 못한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책임 추궁으로는 홈플러스를 살리지 못한다. 확실한 것은 회생에 실패하면 주주와 투자자는 물론 직원, 거래회사, 입점주, 금융사 및 임대주 모두가 불행해진다. 지금은 힘을 모아야 한다. 당국과 정치권도 직접적인 이해당사자들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시간을 줄 필요가 있다.


경영실패에 대한 책임은 회사가 다시 살아나면 그때 가서 물으면 될 것이다. 회생 없는 회생절차를 보면서 지금도 많은 사람들은 불안하기만 하다.

0

0

기사 공유

2

'기자수첩-유통'을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이나영 기자 (ny403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 메이
    안녕하세요.
    현재 벌어지고 있는 홈플러스의 상황에 대해 너무나 공부를 안 하시고 작성 하신 기사인 것 같아서 댓글을 작성 해 올립니다.
    
    홈플러스가 회생절차를 밟아 회생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주주분들의 각고의 노력이 있어야 하는데,지금까지 행해온 홈플러스 주주들의 행태를 공부 하시고 위 기사와 같은 판단을 하신 것인지요.
    
    저희는 세후로는 은행이자 보다 조금 높은 수준의 수익금이지만
    그래도 대한민국의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옳바른 투자라고 생각하고 정말 소중한 노후자금을 홈플러스 채권에 투자 한 사람입니다.
    
    지금 홈플러스를 소유 하고 있는 대주주 MBK가 대출을 통해 홈플러스를 매수하고 매수한 기업을 담보로 또 대출을 일으켜 본인들의 투자금은 미리미리 확보 해 나가는 그 과정을 아시고 이 기사를 쓰셨을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그들은 더 나아가서는 적자가 계속 되자 알짜 매장들은 팔아 치우면서 수수료는 다 챙겨 갔는데, 기자님 말씀대로 과연 회생절차를 이행 할 만한 자격과 자세가 되어 있다는 생각이신지요? 
    
    너무나 순수하신 기자님이신 것 같습니다.
    저도 내 나라 기업이 기업인수합병 기업들의 손에 산산조각이 나지 않고 잘 회생 되기를 절실히 바랍니다.
    
    마는
    회생절차를 뒤에서 밟으면서 채권을 판매한 주주들입니다.(단 11시간만에 회생절차가 승인 된 사실도 알고 계시지요? 재무제표 검토 한번 하기에도 모자라는 시간 입니다)
    
    뒤로는 회생절차를 모의 하면서 단기간에 아니 순식간에 증권사를 통해 채권을 6600억원 어치를 판매한 사실은, 명백한 사기행각을 벌여서라도, 마지막 한푼까지 사적인 이익은 다 긁어 모은 주주들입니다.
    2025.05.11  02:03
    0
    0
  • 메이
    저도 이번에야 이런 식으로 까지 기업인수합병을 활용 하는 구나 하는 공부를 하면서, 그렇게 엄청난 부를 갖은 분들이 왜 이런 짓 까지 하는지에 대해서는 국민의 잣대인 검찰의 확고한 기소와 법원의 판결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이 글을 올립니다.
    
    MBK 라는 기업은 도저히 믿을 수 없고 그 기업 행태를 용서 할 수 없어서 이런 글을 올리지만
    저 또한 이 나라의 국민으로써 홈플러스라는 기업이 좋은 회사로 다시 살아나기를 간곡히 바라는 사람입니다.
    
    감사합니다.
    2025.05.11  01:47
    0
    0
2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