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9일 2025년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내부 데이터상 검색 쿼리(질문) 트렌드에서 생성형 AI 서비스로 인한 악영향은 없고,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그 이유는 네이버 검색 서비스 특징에 기인하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저희 검색 서비스는 정답형보다 쇼핑한다거나 맛집 찾는다거나 탐색형 정보에 대해 UGC에 대한 높은 제공을 보이면서 검색 만족도 높이는데 집중하고 있다"며 "아직까지는 생성형 AI 서비스들이 비상업적인 정보성 쿼리가 높은 경쟁사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비즈니스나 탐색적 쿼리는 지속 증가하고 있다고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다만 생성형 AI 서비스의 활용 방식이 다양해지고 있고, 플레이스나 쇼핑을 연동하려는 흐름을 인지하고 있다. 이게 진화하게 되면 이용자 정보소비 행태도 다변화할 것"이라며 "더더욱 이용자 개인에 맞춘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연내 데이터와 기술 기반으로 앱 서비스와 통합 검색을 개편해 탐색을 고도화하고 개인화된 콘텐츠 소비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