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다른’ 이야기, 혹은 ‘이상한’ 이야기를 선보이고파…
다음엔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 싶다.”
한준희 크리에이터와 유수민 감독이 ‘약한영웅’ 시즌1에 이어 시즌2에서도 기획자와 감독으로 호흡을 맞췄다. 역할 분담도, 웨이브에서 넷플릭스로 플랫폼을 옮기는 과정도 쉽지 않았을 거란 추측이 이어지지만, 두 사람은 ‘약한영웅’의 ‘두 번째’ 이야기를 선보일 수 있어 감사하고 만족했다.
‘약한영웅’의 두 번째 이야기는 ‘연시은의 ‘다음’ 이야기는 나와야 한다’는 모두의 바람이 모인 작품이었고, 두 사람은 더 큰 책임감을 가지고 ‘약한영웅2’의 메시지를 오롯이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약한영웅 Class2’(이하 ‘약한영웅2’)는 친구를 위해 폭력에 맞섰으나 끝내 지키지 못한 트라우마를 안고 은장고로 전학 간 모범생 연시은이 다시는 친구를 잃을 수 없기에 더 큰 폭력과 맞서면서 벌어지는 처절한 생존기이자 찬란한 성장담을 그렸다.
전 시즌 웨이브에서 공개된 이후 시즌2에서는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돼 글로벌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이 과정이 쉽지는 않았지만, 시즌1 당시 끝내지 못한 이야기를 이어나가기 위해 제작사와 플랫폼을 비롯해 많은 이들이 ‘함께’ 노력했다.
“모든 작품이 그렇지만, 과정은 힘들다. ‘메이드’가 되는 것 자체가 기적적인 일이다. 플랫폼은 바뀌었지만, 힘들었다기보다는 많은 분들이 도와주셨다. 기다려 주신 감독님을 비롯해 웨이브, 넷플리스 분들 모두 다 양보를 하면서 뒷이야기를 만들어보자는 마음을 주셨다. 모두가 좋은 마음으로 연시은의 다음 이야기를 보고 싶어 해 주셔서 성사가 될 수 있었다.”(한준희 크리에이터)
“시즌1이 끝나고는 힘들어서 ‘할 힘이 없다’는 생각이었는데, 결국 하게 됐다. 시즌1에서 시은의 이야기가 안타깝게 끝나지 않나. 작가이자 감독으로서 잔인하다고 생각했다. 행복을 알려줬다가 뺏은 것 같았다. ‘이번엔 시은이를 일으키고 다시 웃게 해야 하지 않을까’ 그렇게 시작했다.”(유수민 감독)
시즌2에서는 연시은의 ‘변화’를 잘 담아내는 것이 중요했다. 죄책감에 시달리는 연시은의 깊은 트라우마는 물론, 이에 달라진 액션까지. 디테일을 놓치지 않으며 연시은의 변화와 성장을 전달하기 위해 애썼다. 그만큼 메시지도 더 깊어졌으며, 연시은이 이뤄낸 성장도 더 뭉클했다.
“시즌1을 하며 나의 학창 시절을 돌아봤다. 고등학생이 주인공이기 때문에 성장담은 필연적으로 담겨야 했다. 내가 어렸을 때를 돌이켜 보면 아픈 면이 있었다. 그러면서 단단해지는 것 같다. 시즌1에선 그 아픔을 다뤘다면, 시즌2에선 ‘미워하는 것을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것’이 필요했다고 여겼다. ‘괜찮아, 네 잘못 아니야’라는 메시지도 여러 군데 배치를 해뒀다.”(유수민 감독)
“시은은 은장고 친구들과는 (시즌1 속 친구들과) 좀 다르게 엮었다. 이제 연시은은 이타적인 인물이 된 것이다. 자신과 직접적으로 얽히지 않아도 남을 위해 움직일 수 있는 인물이 된 것 같다. 그 부분이 연시은의 성장이라고 생각했다.”(한준희 크리에이터)
확장된 부분도 있었다. 연시은은 물론, 려운, 최민영, 이준영, 유수빈, 배나라, 이민재 등 여러 인물들이 출연, 각자의 연합을 이뤄 갈등하고 또 연합하며 긴장감을 배가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작품의 스케일은 더 커지고, 액션도 화려해졌다. 동시에 유 감독은 시즌1과의 ‘연결고리’도 놓치지 않으며 완전히 ‘달라진’ 시즌2가 아닌, 잘 변주된 두 번째 이야기를 보여주고자 했다.
“약자가 강자들을 상대로 무언가 해내는 이야기이지 않나. 해외에서도 이런 서사를 좋아해 주신 것 같다. 액션이라는 장르의 외피를 감독님이 잘 세팅을 해주셨다. 그래서 어렵지 않게, 또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었던 것 같다.”(한준희 크리에이터)
“바쿠는 물론, 준태, 현탁, 백진 모두 시즌1 캐릭터의 조각들을 나눠 가진 것 같다. 변주를 주면서도 통일성을 구축하고자 했다. 바쿠 역할만 놓고 보면 수호와 연결되지만, 다른 점이 있다. 바쿠는 리더로서 전체를 위해 움직인다. 수호는 시은만을 위해 움직이지 않았나. 바쿠에겐 더 큰 책임감이 있었다.”(유수민 감독)
시즌3에 대해선 “많은 분들이 사랑해 줘야 가능한 일”이라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시즌3에 대한 방향도 정해두지 않았다. “우당탕탕 학교생활을 이어나가는 시트콤이 될 수도 있는 것”이라고 말한 한 크리에이터는, 그럼에도 기존의 학원물과는 ‘다른’ 이야기로 시청자들을 만나야 한다는 ‘기준’ 만큼은 확고했다. ‘약한영웅’ 시리즈가 특유의 색깔을 바탕으로 시청자들에게 재미와 메시지를 준 것처럼, 앞으로도 뚜렷한 색깔을 가진 작품으로 대중들을 만날 계획이다.
“제가 ‘약한영웅’ 크리에이터를 맡았지만, 유수빈 감독의 색깔이 강하게 묻어나 있다는 걸 모두가 알고 있다. 다음에도 그 감독과 작가가 할 수 있는 조금 ‘다른’ 이야기, 혹은 ‘이상한’ 이야기를 선보이고자 한다. 조금씩 이상한 구석이 있는 이야기들을 선보이고 있다. 보편적인 생각 위에, 본 적 없는 좋은 이야기라는 구석들이 다 조금씩은 있다. 저는 그런 작품을 좋아한다. 다음엔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 싶다. 학교는 물론, 군대, 가정도 될 수 있다. 그런 이야기를 좋아하는 것 같다. 내가 좋아하는 창작자들이 무언가를 보여줬을 때 뿌듯함이 있다.”(한준희 크리에이터)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