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 대표 최근 방송 중단 선언
과도한 여론 몰이…가맹점주들 ‘피멍’
성숙한 비판 의식 필요
본사 제도적 장치 동반돼야
‘더본코리아’의 수장 백종원 대표가 최근 방송 활동 중단을 선언하며 이른바 ‘오너 리스크’ 해소에 나섰지만, 시장의 반응은 여전히 냉랭하다. 더본코리아 브랜드의 이미지를 좌우해온 백 대표가 한발 물러섰음에도, 회사의 주가 역시 좀처럼 반등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더본코리아는 한솥밥을 먹는 25개 외식 브랜드를 운영 중인 외식 프랜차이즈 대기업으로, 최근 6개월간 주가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여왔다. 백 대표의 개인 리스크가 불거지며 ‘브랜드 신뢰도’에 균열이 생겼고, 그 부담은 전국 가맹점주들에게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업계 일각에선 과도한 여론 몰이가 문제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프랜차이즈 구조 특성상 본사보다는 가맹점이 직접적인 타격을 입는 구조인 만큼, 사실과 무관한 비판이 확산될 경우 선량한 자영업자들이 그 피해를 감당하게 된다는 시각이다.
더본코리아가 미운털이 박히기 시작한 것은 연초 ‘빽햄 고가 논란’부터다. 제품 품질에 비해 고가의 가격을 책정한 후 할인폭을 키우며 홍보하는 방식이 소비자들의 반감을 샀다. 이후 위생 논란, 농지법 논란 등 각종 법률 위반 의혹이 제기됐다.
현재 식품표시광고법 위반 혐의 등 총 14건이 수사 중이다. 심지어 최근에는 그간 출연했던 프로그램에서 ‘갑질’을 했다는 의혹마저 제기됐다. 여기에 닭뼈 튀김용 맞춤형 조리기구를 시험 기관 검증 없이 제작·배포했다는 민원과 위반 의혹도 수두룩 하다.
문제는 백종원 대표의 부정이슈가 가맹점으로 향할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더본코리아가 수많은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그 정체성과 대중적 인지도가 사실상 한 사람, 백종원 대표에게 지나치게 집중돼 있어, 소비자 대다수가 가맹점을 ‘백종원의 가게’로 인식하며 선택한다.
때문에 백 대표가 쌓은 이미지가 하락하면 가맹점도 덩달아 바닥을 친다는 점이 큰 단점이자 위기로 작용하고 있다. 더본코리아는 전국구 3000여개 점포를 운영하는 프랜차이즈로 빠르게 점포 수를 늘려왔지만 지난해 출점보다 폐점이 더 많았고 올해도 장담할 수 없게 됐다.
현재 백 대표가 비판을 받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가맹점 수익성과 브랜드 신뢰는 위에서부터 내려온다. 본사의 리더가 보여주는 태도와 기준이, 전국 수천 개 점포의 운영에 그대로 투영된다. 백 대표가 여론으로부터 질타를 달게 받아야 하는 주된 배경이다.
하지만 가짜뉴스는 다른 차원의 이야기다. 백 대표가 공적인 위치에 선 만큼, 사회적 책임을 묻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주장과 유튜브식 ‘선동 콘텐츠’는 공익과 거리가 멀다. 오히려 상처받는 것은 전국에 있는 수천 명의 점주들이다.
그럼에도 최근 일부 SNS와 사이버 렉카들을 중심으로 연돈과 더본코리아를 둘러싼 가짜뉴스가 확산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연돈과도 불화를 겪고 있다는 가짜뉴스가 빠르게 퍼진 것이다. 이에 당혹감을 느낀 연돈 사장 김씨가 직접 SNS를 통해 해명하면서 진화에 나섰다.
여기에 일부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과거 행적을 캐내 민원과 신고를 넣는 ‘시추 놀이’가 조명받고 있다. 급기야 ‘스타 저격수’ 까지 등장했다. ‘농약통백셰프’라는 닉네임의 누리꾼은 지난 3월 28일부터 이달 6일까지 국민신문고에 민원 72건을 제출했다고 스스로 인증하기도 했다.
이에 더본코리아 가맹점주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과거 남양유업 대리점 사태와 마찬가지로 피해가 커질까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이번 사태로 일부 가맹점은 영업에 차질을 빚으며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늘었다고 호소한다. 회사에 지원방안 확대를 요구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더본코리아는 자사 브랜드 음식점의 대표 메뉴를 최대 반값 할인하는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여기에 지난 9일에는 300억원 규모의 가맹점 상생 지원 방안을 시행하겠다고 전했다. 또 3개월간 로열티 면제·핵심 식자재 할인 제공 등의 지원책을 이어가고 있기도 하다.
백 대표는 지난 6일 공식 유튜브를 통해 발표한 사과문에서 “이제부터는 단 한 분의 점주님도 두고 갈 수 없다”며 “이미 발표한 긴급 지원 대책과 별도로 브랜드별 추가 지원 방안을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기업의 대대적인 반성과 함께 소비자들의 성숙한 비판의식이 함께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넘쳐 나는 정보를 성숙하게 받아들이고, 스스로 판단해 불매도 성숙하게 해야 한다는 게 골자다. 가짜 뉴스 등을 통해 운동 자체의 목적이 바뀌어선 안 된다는 목소리다.
또 단순한 지원금 확대가 아닌, 브랜드 리스크를 분산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계약서 내 오너리스크 명시 조항의 실효성 강화, 가맹본부의 품질 관리 의무 명문화, 사전정보 공개 확대 등 실질적인 변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은희 소비자학과 교수는 “가맹점주들과의 관계는 만족하는 사람도 있고 불평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얘기하기 어려운 부분이라고 생각한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 대표가 가맹점주들의 불만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모습을 꾸준히 보이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백 대표가 그동안 요식업자들에게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면서도 “백 대표 역시 소비자들이 문제점을 지적하는 과정이 아플 수 밖에 없다는 점을 인지해야 하고, 소비자도 경험하지 않은 것에 대해 과도하게 비판하는 것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