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그는 누구인가 ①] 노동운동의 살아있는 역사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입력 2025.05.14 04:00  수정 2025.05.14 04:00

"대학 출세나 하려고 왔나" 선배 연설에 학생운동 투신

민청학련 등 사건에 두 차례 제적…노동운동으로 수감

강도 높은 고문에도 '동지' 행방 실토 안한 일화 유명해

"동지 시절의 金은 전설" "한번 꽂히면 백스텝 모른다"

1985년 4월 10 부평 1동 성당에서 농성을 이끄는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연합뉴스

"김문수는 한번 꽂히면 백스텝(뒷걸음질)을 모른다."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단일화와 관련해 갖은 압박을 버티며 자리를 지켜낸 건 노동·민주화 운동의 소산이라 평가된다. 김 후보는 1980년대 노동·민주화 운동을 대표하는 '전설'로 불린다. 고교 때 유신 반대 시위로 무기정학을 당하고, 서울대 재학 시절엔 학생운동 이력으로 두 차례 제적되는가 하면, 노동운동과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두 차례 수감도 됐다. 갖은 고문을 당하면서도 '동지'들의 소재를 밝히지 않은 일화는 지금도 회자된다.


1991년 공산주의 동구권 붕괴를 계기로 노선을 보수로 전향한 그는 3선 국회의원과 재선 경기도지사를 역임하며 보수 정당의 대권 잠룡으로까지 성장하는 등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2016년 총선에서 패배한 후 오랜 기간 침체기를 거쳤다가 윤석열 정부에서 재기했다. 12·3 비상계엄 국면에서 '꼿꼿문수'로 다시 잠룡으로 떠올랐고, 거대 보수 정당의 대선 후보직을 거머쥐며 전성기를 맞았다.


학생 운동부터 노동 운동 투신하기까지
"꼿꼿하게 살아오신 분"…'전설' 평가


김 후보는 1951년 경북 영천 경주 김 씨 집성촌에서 태어났다. 김 후보는 국민학교 4학년 때 부친이 빚보증을 잘못 섰다가 집안이 풍비박산돼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판자촌에서 살았다. 집에 전깃불이 안 들어와 저녁이면 호롱불을 켜야 했고, 김 후보를 비롯한 일곱 남매가 둥근 밥상을 펴놓고 호롱불 아래서 공부를 했다.


김 후보는 교과서 외에 참고서나 문제집 같은 걸 사서 풀어본 적이 없었다고 한다. 그럼에도 공부를 잘해 지역의 최고 명문인 경북중·고에 진학했다. 그는 고등학교에 입학한 뒤 '수양동우회'라는 동호회에 가입해 활동하면서 사회의식을 키워나갔다. 고등학교 3학년 땐 박정희 정부의 3선 개헌을 반대하다 무기정학을 당했다. 2주 뒤 복학한 뒤 1970년 서울대 경영학과에 진학했다.


그가 본격적으로 학생운동에 투신한 건 서울대 동아리 회원을 모집하기 위해 강의실을 찾은 한 선배의 연설이 계기가 됐다. 그는 "대학에 출세나 하려고 왔느냐" "지금 이 나라가 얼마나 어려운데 이렇게 손 놓고 있을 거냐"라는 선배의 연설에 깊은 영감을 얻고 학생운동 동아리인 '후진국 사회 연구회'에 가입했다. 그 선배는 심재권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이다. 1971년 전국학생시위, 1974년 전국민주학생총연맹(민청학련) 사건 등에 연루된 김 후보는 연거푸 제적을 당했다.


김 후보는 제적 이후 고(故) 김근태 전 의원의 제안에 따라 '위장취업' 1세대로 본격적으로 노동운동에 뛰어들었다. 1975년 서울 청계천 피복공장에 재단 보조로 취직해 일했다. 그는 회고록에서 "재단사에게 욕만 바가지로 얻어먹었다"고 밝혔다. 당시 열관리기능사 등 자격증 7가지를 딴 그는 1976년부터 4년간 전국금속노조 한일도루코 보일러공으로 일하며 노조위원장을 지냈다.


이후 김 후보는 1980년 2월 반국가 모임을 조직했다는 혐의로 서울 남영동 치안본부로 끌려가 고문을 받았고, 두 달 동안 수감 생활을 한 뒤 다시 노동현장으로 복귀했다. 그는 1985년 전태일기념사업회 사무국장을 맡아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 이소연 여사가 한때 김 후보를 '내 아들'로 불렀다고 전해진다.


두 번째 수감은 1986년으로, 김 후보가 서울노동운동연합(서노련) 지도위원으로서 인천 5·3 민주항쟁을 주도했다는 이유였다. 보안사령부에 먼저 수감된 서노련 신문팀에게는 김 후보와 심상정 전 정의당 의원의 행방을, 김 후보를 비롯한 나중에 잡힌 핵심 활동가들에겐 심 전 대표와 '얼굴 없는 시인' 박노해 씨의 행방을 추궁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구타와 잠 안 재우기, '통닭구이', 물·전기고문 등 강도 높은 고문을 당했다.


그는 회고록에서 "인간이 이런 비인간적 가혹 행위를 하고, 또 당할 수 있다는 사실이 너무나 절망스러웠다"며 "머리를 마룻바닥에 찧어 죽어버리려고 하니 검도 투구보다 더 둔탁한 투구를 (머리에) 덮어 씌웠다"고 했다. 모진 고문을 무차별적으로 당하면서도 김 후보는 '동지'인 심 전 의원의 행방이나 존재에 대해 실토하지 않았다.


이는 그를 '운동권의 전설'이라고 평가하는 대표적인 배경으로 꼽힌다. 심 전 의원은 과거 한 방송에서 "동지로 지내던 시절의 김문수는 전설이었다. 운동권의 황태자이자 하늘 같은 선배였다"고 했다. 당시 고문 후유증은 지금까지도 남아있다. 김 후보 측은 최근 논평에서 "고문 후유증으로 한쪽 귀가 잘 안 들린다"며 "민주화 투쟁 중 독재와 맞서 싸운 평생의 상처"라고 말했다.


김 후보는 당시 국가보안법 및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징역 3년·자격정지 3년을 선고받았고, 2년 6개월 옥살이 끝에 1988년 광복절 특사로 출소했다.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 공동선대위원장인 김기현 의원은 최근 채널A '정치시그널'에서 "김 후보가 살아왔던 삶의 궤적이 민주화운동을 한다고 그러면서 자신의 일생을 다 바쳤고 그것 때문에 감옥도 다녀오신 분"이라며 "특히 민주화운동 유공자로 지정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그 돈을 받기 위해 민주화운동을 한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민주화 보상금 자체를 수령을 거부하신 정말 꼿꼿하게 살아오신 분"이라고 치켜세웠다.

0

0

기사 공유

1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 슛돌이
    위급한 생명 구하는 119에 전화걸어 도지사 목소리 못알아본다고 관등성명 대라는 인간 같지않은 김문순대야.
    능력 안되니 한덕수와 단일화 한다고 표얻어놓고 막판에 말바꾸는 김문순대야.  검찰총장 되면 검찰개혁 하겠다고 총장되었다가 내란 일으킨 내란수괴 윤석렬과 평행이론이냐?  너같은 해충들이 득실대니 대한민국 정계가 3류를 벗어나지 못하는 거다.  제발 그 세모눈깔 그만좀 보자. 이제 양지바른 곳에서 편히 쉴때 됐잖아?
    2025.05.14  09:23
    0
    0
1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