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 운동 이력·택시 운전 경력 부각
광주교도소 수감 언급하며 "아픈 추억"
"독재정치 절대 안된다는 게 5·18 명령"
이재명 겨냥…"5월 정신 위해 다 바칠 것"
'꼿꼿문수'가 눈물을 흘렸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5·18 민주화운동 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에서 '광주의 5월'을 언급하며 여러 차례 울먹이거나 말을 잇지 못했다. 그는 "저는 1980년 5월의 희생자 중 하나"라며 노동·민주화운동으로 수감됐던 과거를 언급하며 광주를 비롯한 호남 민심에 호소했다.
김문수 후보는 17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했다. 그는 방명록에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고 적은 뒤 헌화했다.
이어 5·18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 묘역, 전남대 총학생회장으로 단식 투쟁 중 옥중 사망한 박관현 열사 묘역 그리고 무명열사 묘역을 참배했다. 김 후보는 박 열사 묘비를 어루만지며 "제가 박 열사 방에서 수감 생활을 했다. 박 열사가 죽은 뒤 제가 들어가서 1년 동안 생활했다"고 설명했다.
박 열사를 언급하면서 울먹이던 김 후보는 끝내 눈물을 흘렸다. 박 열사는 1982년 4월 신군부에 의해 내란중요임무종사 등 혐의로 광주교도소에 수감돼 50일간 단식투쟁을 하다 사망했다. 김 후보는 1986년 직선제 개헌 투쟁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된 뒤 안양교도소와 청송, 목포교도소를 거쳐 박 열사가 숨진 독방에서 옥살이를 했다.
김 후보는 "(박 열사가) 너무 보고 싶다"며 "5월을 생각하면 너무나 아픈 추억이 떠오른다"고 말했다. 그는 초선 국회의원 때부터 5·18 기념식 참석뿐 아니라 박 열사 묘소 참배를 빼놓지 않고 이어왔다. 지난 2009년 참배 때는 박 열사의 누나인 박행순 씨를 만나기도 했다.
김 후보는 민주묘지를 참배하는 동안 냉담한 광주 민심과 마주하기도 했다. 한 사람은 "자기들 인사하러 왔느냐"고 소리 질렀고, 또 다른 사람은 "내란 세력들이 어딜 와서 두 번 세 번 사람 염장을 지르는 거냐"며 "지금 내 가족이 여기 묻혀있다"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광주전남촛불행동' 소속을 자칭하는 일단의 무리들은 민주의 문 앞에서 "내란 세력은 지금 당장 물러가라" "즉각 광주를 떠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그는 민주묘지 참배를 마친 뒤 광주교도소 터로 이동했다. 이곳에서도 김 후보는 박 열사와의 인연을 소개하며 재차 눈물을 흘렸다. 이곳에서 함께 수감 생활을 했던 인사들도 만났다.
김 후보는 "우린 그때 너무 아팠기 때문에 나와서 계속 연락하고, 광주교도소에서 우리 운동권 등 120여명 정도가 같이 생활했다"며 "정말 이야기하면 끝이 없다. 그런 여러 가지 아픔을 딛고 오늘의 대한민국이, 이렇게 자유와 민주주의의 인권이 존중되는 사회를 이뤘다"고 말했다.
이어 "그 아픔이 승화돼 더 위대한 나라가 될 수 있도록 5월의 정신은 남을 미워하거나 공격하는 수단이 아니라 민주주의가 희생 위에 꽃 피웠다는 걸 잊어선 안 된다"라며 "(5월 정신을) 정치적으로 악용하고 내게 고함치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 사람들이 5월의 아픔을 알겠나. 아무것도 모르고 소리 지르지만 1980년 5월을 생각하면 너무 아프다"라고 덧붙였다.
김 후보는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주재한 현장 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5월 정신'을 재차 강조하며,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후보는 '독재'를 행하고 있다고 맹폭을 가했다. 그는 "오월의 희생이 민주당의 이런 민주주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고 확신한다"며 "정치가 부패하고 거짓말을 시키고 도둑질하는, 독재하는 정치는 절대 안 된다는 명령이 5·18 명령"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선거는 단순하게 정당 간의 대결이 아니라 이 나라의 민주주의가 한 단계 발전하느냐, 세계 역사상 유례가 없는 해괴망측한 독재로 전락하느냐(의 싸움)"이라며 "민주주의의 승리, 광주 5월 정신의 승리를 향해서 모든 것을 다 바쳐서 싸울 것을 약속드린다"고 다짐했다.
5·18 민주화운동을 배경으로 한 영화 '택시운전사'를 떠올리려는듯, 김 후보는 자신의 '택시 운전' 경력을 부각하는 일정도 소화했다. 김 후보는 운동권 세력 일부와 함께 창당한 민중당이 실패하자, 약 1년간 택시기사로 일했다. 또 경기지사 시절 택시업계 현실을 파악하겠다며 약 3년 가까이 31개 시·군에서 '1일 택시기사' 체험을 했다.
그는 전북 전주에서 개인택시조합과 간담회를 갖고 "보조금, (노후)대폐차 비용 국비 지원은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겠다"며 "내가 대통령이 되면 '택시 대통령'이 되겠다"고 힘줘 말했다. 김 후보는 개인택시조합이 마련한 모범운전자 휘장이 달린 파란색 택시기사 제복도 입었다.
김 후보는 전주 완산구 한옥마을에선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총력 지원'을 약속하며 민심에 파고들었다. 김 후보는 "여러분이 승리할 것이라 확신하고 여러분들의 뜨거운 열정을 가져가서 반드시 (2036년 하계올림픽을) 성취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전북 새만금 개발 문제에 대해서도 "새만금에 세계적으로 좋은 기업, 대한민국의 좋은 기업이 많이 오도록 과감하게 국가적 지원을 하고 인력을 공급해 새만금을 이른 시일 내에 세계적인 꿈의 도시로 만들겠다"고 공약했다. 김 후보는 전주 일정 이후 전북 김제 새만금 개발 현장 방문을 끝으로 호남 유세 일정을 마쳤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