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디딤돌소득 등 서울시 약자정책, 지방부터 시작해 전국 확대"

민단비 기자 (sweetrain@dailian.co.kr)

입력 2025.05.19 13:17  수정 2025.05.19 13:26

소득 적을수록 더 많이 주는 디딤돌소득

취약계층 학생 교육 무료 지원하는 서울런

오세훈 "전국화한다면 양극화 해소 가능"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9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약자와 동행하는 서울 토론회에 참석해 악수하고 있다. ⓒ데일리안 방규현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서울시의 대표적인 약자동행정책인 '디딤돌소득'과 '서울런의 전국 확대를 약속했다.


김문수 후보는 19일 서울 종로구 시청에서 열린 '약자와 동행하는 서울' 토론회에서 "서울시에서 선도적으로 성공시킨 디딤돌소득과 서울런을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지방부터 도입해 전국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디딤돌소득은 저소득 가구의 가계소득을 일부 지원하는 정책으로,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이 주는 하후상박형 복지제도다. 소득 기준을 초과해도 수급 자격이 유지돼 근로의욕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설계됐다. 현재 서울시는 2076가구에 디딤돌소득을 지급하고 있다.


서울런은 사회·경제적 이유로 사교육을 받기 어려운 6∼24세 취약계층 학생들에게 양질의 온라인 강의와 1:1 멘토링 서비스 등을 무료로 지원하는 정책이다. 지난달 말 기준 이용자는 약 3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 김 후보는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이 성공시킨 디딤돌소득과 서울런은 너무 훌륭해서 내가 후보로서 정책을 다 받들기 위해 받은 자료를 그대로 가지고 정책 회의를 했다"며 "오 시장께서 몇 년동안 정책 검증과 타당성 검토를 했기 때문에 바로 지금 하면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요즘 지방에 많이 가는데 가보면 서울보다 약자가 훨씬 많다"며 디딤돌소득과 서울런의 지방 도입과 전국 확대를 약속했다.


오세훈 시장은 "평균적으로 탈수급 비율이 0.2%로 1000명 중에 2명이 채 되지 않지만, 디딤돌 소득에 의하면 1000명 중 8~9명 수준"이라며 "서울시에서 3년째 하는 시범 사업들이 전국화 된다면 우리 사회 가장 큰 문제점인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오 시장과 김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디딤돌소득과 서울런 정책 수혜자, 정책 평가를 담당한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민단비 기자 (sweetra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