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지났지만 여전한 '코리아 디스카운트'…밸류업 성공의 조건들

서진주 기자 (pearl@dailian.co.kr)

입력 2025.05.21 05:08  수정 2025.05.21 05:08

밸류업 공시 참여 기업, 고작 6.68%…대형주에 편중

기업가치 저평가 지속…PBR, 정책 시행 직전보다 감소

부진한 성과에 수그러든 관심…ETF 거래 대금도 ‘뚝’

수익성 및 성장성 확보가 ‘과제’…제도 정비도 급선무

ⓒ게티이미지뱅크

기업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이 시행된 지 1년이 경과했으나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 모양새다.


다음 정권에서도 밸류업을 이어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제도 정비와 기업의 체질 개선이 급선무라는 지적이다.


21일 한국거래소 기업공시정보시스템(KIND)에 따르면 밸류업 프로그램이 시행된 지난해 5월 이후 전일(20일)까지 밸류업 공시를 올린 기업은 152곳이다.


이는 코스피·코스닥 상장사의 6.68%에 불과한 수준인데, 밸류업 공시에 참여한 기업을 살펴보면 대형주 중심으로 편중돼 있다.


밸류업 프로그램이 시행된 이후 상장사들에 대한 기업가치 평가도 여전히 낮다. 코스피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이달 19일 기준 0.88배로, 1년 전(0.99배)보다 떨어졌다.


같은 기간 코스닥 PBR도 1.95배에서 1.59배로 감소했다. PBR은 현재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수치로, 1배 미만일 경우 기업가치가 저평가됐다고 본다.


이 같은 분위기에 밸류업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럽게 식어가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밸류업 ETF 중 순자산 규모가 가장 큰 ‘KODEX 코리아밸류업’의 최근 한 달간 일평균 거래대금은 3억2851만원으로 집계됐다. 해당 ETF를 비롯한 밸류업 ETF 12종목은 모두 지난해 11월 출시 이후 거래대금이 우하향세를 그리고 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밸류업 정책이 추진된 것과 달리 제대로 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 채 동력을 잃은 실정이다.


이정빈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저조한 기업들의 밸류업 공시 참여는 정책 확산과 실질적 성과 창출에 있어 큰 제약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픽사베이

상장사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된 상황에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동참할 필요가 없지 않냐는 입장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차기 정권에서도 밸류업 정책이 지속 추진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밸류업 정책이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배당 확대 등과 같은 주주환원과 함께 기업의 경쟁력, 미래 성장 동력 강화가 요구된다는 게 업계 진단이다.


이동섭 국민연금공단 수탁자책임실장은 “국내 기업들은 외국 기업들과 비교했을 때 지속가능한 경영과 관련된 공시가 현저히 부족하다”며 “밸류업 프로그램의 질적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업 지배구조 선진화를 위한 법제도가 정비돼야 체질적 변화를 꾀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법 제도 개선, 지배구조 투명성, 지속가능한 수익성이 모두 맞물릴 때 시장이 구조적으로 반응한다는 주장이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구조적 저평가의 핵심에는 낮은 PBR, 불투명한 지배구조, 단발성에 그치는 주주환원 정책이 자리 잡고 있다”며 “단기 이벤트로는 근본이 바뀌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서진주 기자 (pearl@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