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단계 DSR '막차 수요' 관리 위해
대출 문턱 더 높여야 하는데 '고심'
외려 우대금리 확대하는 은행도
시중은행들이 가계대출 관리를 두고 딜레마를 겪고 있다. 가계대출이 다시 반등할 기세를 보이자 당국 차원의 대출 억제 압박이 큰 상황이지만, 은행 입장에서는 수익성 차원에서 고객 유치와 영업도 시급한 상황이어서다.
금융당국이 하반기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을 앞두고 가계대출 급등을 막기 위해 은행에 보다 촘촘한 관리를 요구한 상황이라 이들의 고심은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은 오는 22일부터 대면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상품의 우대금리를 0.45%포인트(p) 확대하기로 했다. 우대금리를 늘리면 사실상 변동형 주담대 금리가 그만큼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농협은행은 금리인하기 속 고객의 이자 부담을 완화하고 상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대출 문턱을 낮췄다는 설명이다.
KB국민은행 역시 지난 14일부터 비대면 주담대 금리를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하면서 대출 완화에 동참했다. 우대금리 조건 없이 이날 기준 연 3.64%의 금리를 제공하는데, 이는 타 은행의 기본 금리보다 0.2~0.3%p 낮은 수준이다.
다만 총량 제한을 위해 일일 접수건수를 150건으로 제한했는데, 이에 금융 소비자들의 수요가 몰리며 '오픈런'이 발생하기도 했다.
반면 시장금리 하락세를 거슬러 대출 문턱을 더 높이는 움직임도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 16일부터 신용대출 '우리WON갈아타기 직장인대출'의 우대금리를 폐지했다. 지난 2월부터 이달까지 우리은행의 신용대출이 6700억원 넘게 급증하면서 총량을 제한하기 위한 결정이라는 설명이다.
이처럼 은행들의 대출금리 조정 방향이 나뉘는 이유는 금융당국의 압박과 수익성 방어 사이에서 고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업을 위해 시장금리를 반영하면 수요가 쏠리면서 총량을 관리하기 힘들어지고, 반대로 문턱을 높이기엔 은행 수익성에 타격을 입어서다.
지난달 국내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를 보면 전달보다 4조5337억원 증가했다. 이달 들어서도 지난 15일까지 2조9496억원 늘며 빠르게 불고 있다.
이런 상황에 금융당국이 또다시 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은행권의 고심은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가 오는 7월부터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안을 발표하면서다.
이에 따라 모든 가계대출에 대해 스트레스 금리가 1.50%로 상향 조정되고, 지방 주담대에 한해 연말까지 0.75%의 스트레스 금리를 유지한다. 동시에 '막차 수요' 등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계대출 관리 시중은행에 총량 제한, 관리 목표 준수 등을 요구했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스트레스 DSR은 특히 금리 인하기에 차주의 대출한도 확대를 제어할 수 있는 ‘자동 제어장치’로서의 역할을 한다"며 "금융회사들의 월별․분기별 관리목표 준수 여부 등을 철저하게 모니터링하겠다"고 설명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3단계 스트레스 DSR이 시행되기 전 막차 수요가 몰릴 수 있어 각 은행에서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더 집중할 예정"이라면서도 "금리도 떨어지는데 여신으로 수익을 만들기 쉽지 않은 상황은 맞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