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가덕도신공항 적기 개항을 위해 국토교통부에 입찰 조건 변경 없이 즉각 부지조성 공사 재공고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20일 김광회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은 부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 공사 지연에 대한 부산시 입장을 밝혔다.
김 부시장은 "국토부는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제출한 기본설계안에 대해 수의계약 중단 절차에 착수했지만, 입찰 조건을 위반한 설계안을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에 회부하고 추가 자문까지 진행하는 등 소모적인 행정 절차를 이어가고 있다"고 했다.
앞서 지난달 28일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국토부가 제시한 공사 기간 84개월(7년)이 아닌 108개월(9년)을 제출했다.
부산시는 해당 설계안이 정부가 정한 입찰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부적격' 대상이라고 판단했다. 이어 수의계약을 위한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심의는 불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김 부시장은 "84개월은 1년 8개월 동안 153억원을 들여 기본계획 수립 용역과 60여 차례 자문회의를 거쳐 도출된 공사 기간"이라며 "일각에서는 현대의 주장처럼 공사 기간을 늘려 재입찰하자고 하지만, 이는 행정의 신뢰성을 해치는 접근"이라고 지적했다.
부산시는 국토부에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심의 종료 ▲입찰 조건 변경 없는 즉각적인 재공고 ▲실현 가능한 사업 추진 계획 제시를 요청했다. 시는 사업자 지정이 늦어질 경우 일부 공항 시설만 우선 개방해 2029년 말 단계적 개항을 실현하겠단 계획이 무산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김 부시장은 "국토부가 108개월을 기준으로 새롭게 입찰을 진행할 경우, 공사 기간 재산정을 위한 절차가 필요해 한두 달이 아니라 무기한 지연될 수 있다"며 "정치적 이해관계가 아닌 행정의 일관성과 시간 관리가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토부는 더 늦기 전에 중심위 심의를 철회하고 입찰 조건 변경 없이 3차 공고를 통해 수의계약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