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시청 빅데이터 플랫폼 활용해 홈쇼핑, 광고주, 중소 PP와 상생 확대
KT는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와‘IPTV 통합 시청데이터 플랫폼’을 공동으로 구축하며, 연내 정식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고 21일 밝혔다.
이 플랫폼은 전국 17개 시도 가입자의 셋톱박스(STB) 시청 로그를 기반으로 ▲도달자 수(10초 이상 시청한 가입자 수) ▲평균 시청 시간 ▲시청 시간 점유율 ▲도달률 등 정밀한 데이터를 제공해 기존 시청률 통계의 한계를 뛰어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 시청률 조사는 패널 기반의 표본 조사 방식으로, 표본은 약 4000가구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3600만에 이르는 유료 방송 가입자를 대표하는 데이터로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패널 1가구당 약 9000가구를 대표하는 만큼 시청률 왜곡 우려가 꾸준히 제기됐다.
IPTV(KT)를 필두로 위성방송(kt skylife), 케이블방송(kt HCN)을 모두 제공 중인 KT그룹은 국내 최대 수준의 1400만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 KT는 IPTV 통합 시청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더불어 시청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결합한 서비스 및 플랫폼으로 홈쇼핑, 중소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들과 상생을 추진하고 있다.
KT는 지난해 7월부터 그룹 미디어 시청데이터를 활용한 웹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 이를 토대로 주문형 비디오(VOD), 실시간 채널 등의 시청 성과 분석과 편성 전략 수립에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AI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 방송 콘텐츠의 흥행 여부를 사전에 분석할 수 있는 ‘시청률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시청률 예측 모델은 채널 운영(kt ENA), 지역 채널 편성(kt HCN) 등 방송 계열 그룹사에서 활용 중인데 연령, 성별, 지역에 따른 시청자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실제 셋톱박스 수를 집계하는 만큼 시청량이 적은 채널도 명확한 성과 측정이 가능하다.
KT는 지난 3월 국내 주요 홈쇼핑업체 12곳과 상생 협약을 맺고, ‘지니 TV 쇼핑 인사이트(GSI)’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시청 데이터를 제공 중이다. 홈쇼핑사들은 상품 기획부터 편성, 방송 제작, 마케팅전략까지 다양한 분야에 GSI를 활용하고 있다. 홈쇼핑 생방송 중 시청데이터를 활용해 쇼호스트의 멘트나 프로모션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내 KT는 GSI에 챗봇 기반의 ‘AI 어시스턴트’와 ‘시청자 행동 예측’ 기능을 도입할 예정이다. 이들 기능은 쉽게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실시간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KT는 올해 1월 모바일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와 협력해 ‘TV 애드 인덱스’를 선보였다. 이 솔루션을 활용하면 IPTV 시청 로그와 모바일 데이터를 결합해 TV 광고 성과를 디지털광고 수준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70여개 주요 채널에서 특정 광고가 어느 시간대에 노출되었는지 전수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으며, AI 학습을 통해 실제 구매로 이어질 가능성까지 확인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다. KT는 분석 대상 채널을 중소 PP까지 확대해 이들에게도 광고 수익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최광철 KT IPTV사업본부장 상무는 “KT는 국내 최대 규모의 미디어 시청데이터를 보유한 만큼 이를 토대로 미디어와 광고산업의 혁신에 앞장서겠다”며 “AI 기술을 적극 활용해 중소 방송 사업자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