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3%대 성장과 1%대 물가가 디플레인가"

이충재 기자

입력 2014.12.11 14:25  수정 2014.12.11 14:29

기준금리 2.00%동결 후 "내년 경제성장률, 물가목표 낮춰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13일 서울 중구 남대문로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자료사진)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1일 가계부채 증가 문제와 관련 “금리 정책을 펼 때 가계부채만 고려할 수는 없고, 한은의 노력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2.00% 수준에서 동결한 뒤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두 달 새 크게 늘어난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 당국과 협의를 하고 있는데, 가계부채는 금리보다는 미시 정책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이어 “금리 인하가 가계부채를 늘리는 쪽으로 작용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고, 이는 금리 조정에 따른 비용”이라며 “ LTV·DTI 규제가 조정되고 가계부채가 줄어든다고 해도 반드시 금리 인하 여지가 생긴다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동결 배경에 대해선 “최근 국제유가와 환율 변동이 한국 경제의 성장과 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또 “금통위는 앞으로 성장세 회복을 지원하는 가운데 물가안정기조가 유지되도록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등 해외 위험요인과 가계부채 및 자본유출입 동향 등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디플레 우려 때문에 중앙은행이 나서야 한다는 주장은 과하다"

특히 이 총재는 내년 경제 성장률 전망치의 하향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 “한은이 내년 경제전망을 3.9%로 전망했는데, 상황이 변화가 있으면 전망이 바뀔 수밖에 없다”며 “내년 3.9% 경제성장률을 그대로 유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유로존 경제 부진이 생각보다 더 좋지 않고, 중국 경제도 성장세 둔화가 눈에 띄게 보인다”며 “국내 요인을 봐도 경제주체들의 심리가 생각보다 부진하다”고 설명했다.

또 물가 전망치에 대해서도 최근 국제유가 하락세를 지적하며 “모형 분석으로는 원유 평균 도입단가가 10% 떨어지면 소비자 물가를 0.2% 낮추는 효과가 있다”며 “하향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일본과 유사한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을 거론하면서 추가 금리 인하를 우회적으로 요구한 데 대해서도 “주장이 과하다”고 반박했다.

이 총재는 “3%대 성장과 1%대 물가를 디플레라고 할 수 없다”며 “디플레가 우려되기 때문에 중앙은행이 과감하게 나서야 한다는 주장은 과하지 않나”라고 되물었다.

다만 이 총재는 “저성장 저물가가 장기화 고착화 될 경우 디플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저성장·저물가 방지 노력은 필요하다 생각한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