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남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2일 최근 당내에서 논의되는 공천 룰에 대해 "혁신성이나 새로운 참신성을 보장하기 위한 전략공천이라면 좋은 제도라고 생각하지만 특정 지역, 특정 인물을 위한 전략공천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전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에 출연해 "과거 경험에 비춰서는 자의적 판단을 배제하기 위해 전략공천을 없애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객관성과 공정성만 보장된다면 오히려 좋은 것이라는 의견이 갈릴 수 밖에 없는 문제"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정말 청와대에서 일을 하고 있는 몇몇 비서관들의 공천을 보장하기 위해서 전략공천을 도입한다면 그것은 막아야 될 문제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완전히 배제하면 여론조사만 갖고 결정해야 하는데 그러면 새로운 인물 내지는 개혁성을 어떻게 담아낼 수 있느냐가 문제가 된다"고 우려했다.
이어 "앞으로 본격적으로 논의를 해야될 필요가 있다. 대단이 어려운 문제"라며 "당내 만들어질 특별기구에 현역 의원 외에 외부인사까지 포함된 폭넓은 기구를 만들어서 공정한 룰을 만들어내는 것이 옳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그는 추석 연휴 기간 중 김무성 대표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부산 회동'을 갖고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잠정 합의한 것에 대해 절차나 방법 면에서 문제가 있다면서도 청와대가 관계자가 이를 공개적으로 반박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 의원은 "양 당 대표가 만났던 시점은 공천 룰보다 의석 정수와 관련한 합의를 했어야 하는 시점인데 안심번호를 이용한 휴대전화 경선에 대한 합의가 이뤄졌다"며 "이것은 각 당에서 당론 비슷하게 논의가 이뤄진 상태에서 합의가 이뤄지는 것이 더 바람직했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와 청와대의 공방에 대해선 "사실 과거와 같이 대통령이 집권 여당의 총재를 겸하고 있으면 이런 문제도 일어나지 않았을 것인데 지금은 공식적으로는 평당원"이라며 "대통령이 평당원으로서 어떤 의견을 제시하는 것은 있을 수 있다고 보지만 직접적으로 청와대 관계자가 기자들 앞에서 그런 의견을 밝히는 것은 아무래도 조금 적절치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특별 기구를 만들어서 공천 제도와 관련한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기 때문에 거기서 보다 합리적인 대안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