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27일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에 대해 “경제회복과 민생 챙기기를 위해 여야의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지금 정국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로 교착상태에 빠져있다”며 박 대통령이 역사교과서 문제에서 손을 떼고 경제 문제에만 주력할 것을 촉구했다.
정 의원은 이날 성명을 내고 이같이 말한 뒤 “이래서는 국론통일도 안되고, 경제난 해소를 위한 여야간 협력도 어려워진다”면서 “나는 줄곧 박근혜정권이 성공한 정부가 되어야 한다고 이야기 해왔다. 대통령을 위해서가 아니라, 국민과 나라의 장래를 위해서다”라며 박 대통령을 향해 △교과서 문제 무개입 △경제 문제에 주력 △야당 견해 경청 및 수용 등을 요구했다.
정 의원은 특히 “역사는 대통령이 개입할 문제가 아니며, 대통령 스스로도 역사 왜곡과 미화 교과서를 좌시하지 않겠다고 했다. 어떤 명분으로도 정권이 개입할 수 있는 국정화에서 손을 떼면 되는 문제”라며 “총선개입에서 한발 물러서고, 경제에만 주력해야 한다. 정치에 대한 대통령의 과도한 개입은 대통령과 국회, 여와 야 사이에 극한적 갈등의 원인을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정부가 추진 중인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과 관광진흥법을 ‘가짜 민생법안’으로 규정하고 “학교 앞 호텔에 대한 대통령의 잘못된 정보와 인식에 따른 옳지 않은 요구다. 참모들의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새정치연합이 내놓은 ‘청년 희망 종합대책’과 함께 본인이 앞서 제안한 바 있는 ‘청년세 도입’을 강조했다.
한편 안철수 전 공동대표도 박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 직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들의 의견을 전혀 고려하지 않으니 참담한 심정이다. 국정교과서에 대해 계속 그렇게 주장하니 너무 답답하다"며 “계속 옳지 않은 방향이라고 여러번 이야기했고, 국사학자 등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지 않았느냐"고 지적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