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으로 북상하는 ‘진박 마케팅' 효과는...

고수정 기자

입력 2016.02.04 04:49  수정 2016.02.04 04:59

계파 가르기에 유권자 피로도…"계파 나누기 도움 안될듯"

대구·경북에서 시작된 진박 마케팅에 대한 역풍이 수도권까지 북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친박 좌장' 최경환(가운데) 새누리당 의원은 대구·경북, 부산 등에 이어 수도권에서 친박계 인사를 향해 지지를 호소할 예정이다. (자료사진)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친박(친박근혜) 심판론’이 수도권으로 북상하고 있다. TK(대구·경북)에서 시작된 친박·진박 마케팅이 역풍이 된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는가운데 PK(부산·경남)를 거쳐 수도권에서도 진박마케팅에 대한 비호감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친박 심판론의 진원지는 대구다. 이른바 ‘진박연대’로 불리는 이들이 공개적으로 모임을 갖고 총선을 위한 공동 행동에 나서기로 했지만, 바람만큼 대구 지역에서 현역의원들과의 지지율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 ‘친박 좌장’ 최경환 새누리당 의원이 이들 지원에 총대를 메면서 당내는 물론 유권자의 반발 여론이 거세지는 모양새다. 최 의원은 PK에서도 '진박 후보' 지원 사격을 지속했다.

지난달 14일 최형두 전 국회대변인의 선거사무소 개소식을 시작으로 수도권에서도 진박 마케팅이 번지고 있다. 이날 개소식에는 김황식 전 국무총리, 이주영·홍문종·정우택 의원, 안대희 전 대법관 등 친박계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향후 최 의원이 수도권 예비후보들에게도 힘을 싣기로 해 수도권에서의 진박 마케팅은 번질 전망이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러한 ‘계파 나누기’가 유권자들의 피로감을 일으킨다고 지적한다. 특히 당내에서 총선을 앞두고 계파 갈등이 심화되고 있고, 경제활성화법안 등 민생 법안 처리의 진전이 나지 않은 상황에서 ‘박근혜 대통령’이라는 브랜드를 강조하는 현역 의원과 예비후보에 유권자가 염증을 느낀다는 분석이다.

이 때문에 새누리당의 텃밭인 영남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보수색이 강하지 않은 수도권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이다. 현재 새누리당은 더불어민주당과 수도권 지지율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비박계로 분류되는 김용태 의원은 SBS 라디오에서 “수도권의 경우 새누리당 후보가 공천만 받으면 되는 지역이 아닌 늘 개가 바둑 두듯이 몇 천표 차이로 생사가 갈렸던 지역”이라며 “특정 후보를 특정한 방식으로 지원하는 것은 수도권에 도움이 안 된다”고 말했다.

노골적인 친박·진박 마케팅이 거부감을 불러 일으켜 새누리당 지지율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다. 실제 수도권 지역에서 현역 의원을 향해 ‘친박 심판론’까지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친박계로 분류되는 수도권 의원은 최근 ‘데일리안’ 기자와 만나 “우리 지역에서 ○○○ (의원 본인 이름) 국회의원 사퇴하라는 분위기”라며 “박 대통령 뒤꽁무니만 바라보는 진박마케팅은 사라져야 한다는 반감 여론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김용철 부산대 교수는 ‘데일리안’과 전화 통화에서 “진박 마케팅이 선거 마케팅 수준을 벗어나면 친박계는 물론 새누리당에도 마이너스 효과를 불러 일으킬 것”이라며 “계파간의 다툼 등만 너무 부각되는 진흙탕 싸움이 계속되면 수도권에서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