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50대그룹 대주주 일가 자산승계율 32.7%.. 5년간 4%p 상승


입력 2016.10.05 09:29 수정 2016.10.05 10:56        이홍석 기자

더딘 자산승계...증여세 부담 크고 관련 세제 보완 영향

삼성·현대차·롯데·한화 등 상위그룹 40% 웃돌아

주요그룹 자산승계율 현황.ⓒCEO스코어

더딘 자산승계...증여세 부담 크고 관련 세제 보완 영향
삼성·현대차·롯데·한화 등 상위그룹 40% 웃돌아

국내 50대 그룹 대주주 일가의 자산승계율이 최근 5년간 4%포인트 증가하는데 그쳐 국내 대기업 그룹사들의 자산승계가 더디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여세 부담이 큰데다 관련 세제가 갈수록 보완되면서 승계가 갈수록 어려워진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대주주 나이가 많은 삼성·현대차·롯데·한화·두산등 상위 그룹의 승계율은 대부분 40%를 넘기는 등 진행이 상대적으로 빠른 반면 대주주가 젊거나 창업기업들이 많은 중·하위 그룹들은 크게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오너가 있는 상위 50대그룹 대주주 일가의 계열사 보유주식 승계율을 조사한 결과, 평균 32.7%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1년 초 28.7%에 비해 4.1%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자산승계율은 경영권을 갖고 있는 총수와 부인, 직계 자녀들이 보유하고 있는 가족 전체 자산 중 자녀들이 소유한 자산 비율이다. CEO스코어는 자산은 상장사의 경우 9월30일 종가 기준, 비상장사는 지난 상반기 기준 자본금에 대주주일가 지분율 곱해 산출했고 자본잠식인 경우 주식가치는 0으로 가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룹별로는 대주주의 나이가 많은 상위 그룹둘의 승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현대차·SK·롯데·GS·한화·현대중공업·한진·두산 등 상위 10개 그룹의 자산승계율은 35.8%로 특히 최근 5년간 자산승계율 상승률이 7.1%포인트로 50대 그룹 평균보다 약 2배 가량 높았다.

반면 하위 10개 그룹은 자산승계율이 평균 27.8%로 전체 평균에 크게 못미쳤다. 이들 그룹은 대주주의 나이가 아직 젊거나 창업 후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으로 CEO스코어는 분석했다.

이 기간 중 자산승계율이 가장 크게 상승한 곳은 중흥건설로 지난 2011년 36.8%에서 올해는 58.4%로 21.6%포인트나 높아졌다. 정찬선 회장의 차남 정원철 사장이 지난 2월 자신이 이끄는 중흥종합건설의 대표법인을 시티건설로 바꾸는 등 계열분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분을 대거 넘겨받았기 때문이라고 CEO스코어는 설명했다.

이어 한진(24.3%, 20.2%p↑), 세아(57.6%, 19.5%p↑), 삼성(43.4%, 19.4%p↑), 대림(59.0%, 18.0%p↑), 한솔(89.5%, 17.3%p↑) 현대차(44.1%, 16.4%p↑), 하이트진로(29.7%, 14.0%p↑ ), KCC(88.1%, 10.6%p↑) 등의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삼성은 지난 2011년 초 23.9%에 그쳤던 자산승계율이 43.4%로 19.4%p 상승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제일모직 사장 등 3남매의 자산가치가 11조4109억원으로 5년 전 3조3022억원 보다 무려 8조1086억원(245.6%)이 불어났기 때문이다. 이는 50대 그룹 자녀 전체의 자산가치 증가액 9조8101억 원의 82.7%에 해당한다.

현대차그룹도 자산승계율이 27.8%에서 44.1%로 16.4%p 높아졌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과 정성이 이노션 고문, 정명이 현대커머셜 고문, 정윤이 해비치호텔앤드리조트 전무 등이 보유한 주식가치가 3조7919억원으로 지난 2011년 2조 6111억 원에 비해 1조1808억원(45.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LG그룹은 18.8%에서 23.6%로 4.7%p, GS그룹은 15.2%에서 22.5%로 7.3%p, 한화그룹은 35.1%에서 41.7%로 6.5%p 각각 높아졌다.

반면 자산 승계율이 하락한 그룹사들도 있었다. 금호아시아나는 자산 승계율이 55.7%에서 43.2%로 12.5%p나 하락했다. 대주주 일가가 보유 중이던 금호산업, 금호타이어 등의 주식을 처분하고 금호홀딩스 등 비상장사 지분을 취득하면서 승계율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롯데도 94.1%에서 83%로 11.1%p나 감소했다. 신격호 명예회장이 롯데물산과 롯데정보통신 등의 주식을 신규취득하고 신동빈 회장이 보유주식 일부를 재단에 넘겨줬기 때문이다.

이어 부영(2.2%.-2.2%p), 한국타이어(55.7%, 0.4%p↓), 한라(0.3%, 0.2%p↓), 메리츠금융(0.4%, 0.2%p↓), SK(0.4%, 0.2%p↓) 등도 자산승계율이 소폭 하락했다.

자산승계율이 가장 높은 그룹은 99.6%인 태영이으며 이어 한국투자금융(94.9%), 한솔(89.5%), KCC(88.1%), 롯데(83.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 5년간 50대그룹 총수들이 보유한 주식의 가치는 총 58조5016억원에서 74조2580억원으로 15조7564억원(26.9%), 자녀들의 보유주식 가치는 25조7445억원에서 35조5546억원으로 9조8101억원(38.1%)이 각각 증가했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