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경선 룰' 협상 결렬…대선후보 선출 차질
안철수 측, '현장투표 40%·여론 및 공론조사 각 30%' 제안
손학규 측, '현장투표 50%·토론회 배심원단 현장투표 50%' 제안
국민의당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당내 경선룰'이 2월말로 예정한 확정 기한을 맞추지 못한 채 대권주자간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한 끝에 결렬됐다.
경선 주자인 안철수 전 대표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천정배 전 대표 측 대리인은 이날 하룻동안 여의도 당사에서 막판 협상을 벌였지만 끝내 최종안을 마련하지 못했다.
안 전 대표 측은 현장투표 40%·여론조사 30%·공론조사 30%를 반영한 경선룰을 제안했다. 지난 2011년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당시 박원순-박영선 후보간 경선룰과 흡사한 것인데, 안 전 대표 측이 그동안 요구한 '모바일 투표'를 제외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양보안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손 전 대표 측은 배심원단을 통해 이뤄지는 공론조사가 사실상 '여론조사'와 마찬가지라며 안 전 대표 측 제안을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손 전 대표 측은 현장투표 50%, 3명의 후보 측이 3분의 1씩 뽑은 배심원단이 후보 토론회를 지켜본 후에 현장투표를 하는 방식 50%를 합산해 선출하는 방안을 제안했지만 안 전 대표 측이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양측은 오후에 다시 여론조사, 공론조사, 현장투표 등의 비율을 재조정한 방안을 각각 제시하며 협상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결렬되고 말았다.
당초 국민의당 대선기획단은 2월말 안에 '경선룰'을 확정짓고 3월 하순에 당 대선후보를 뽑는 로드맵을 발표했지만 첫 과정부터 순탄치 않은 결과를 안고 말았다.
이에 따라 탄핵심판 선고 직후인 3월 중순부터 경선에 돌입해 25일~26일쯤 당 대선후보를 최종 선출하겠다는 계획도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은 오는 3월 2일 경선룰 협상을 다시 재개할 예정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