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해제‧뉴딜사업 선정에 집값 상승…“주민 참여 미지수”
동대문 홍릉 일대, 서울 최초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
재개발 해제‧뉴딜사업 선정에 집값 상승…“주민 참여 미지수”
동대문 홍릉 일대, 서울 최초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
◆재개발 해제‧뉴딜사업 선정에 집값 상승…“주민 참여 미지수”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 정문에서 길 하나를 건너면 대로변 뒤로 오래된 주택가가 나온다. 드문드문 신축 오피스텔이 보이지만 대부분 노후 된 주택이다. 곳곳에 사람 한명이 지나가기에도 빠듯할 정도의 좁디좁은 골목길이 거미줄 처럼 가가호호 연결돼 있다.
지난 12월 5일 방문한 이곳은 대로변과 원룸촌 간의 분위기가 확연히 달랐다. 버스가 오가는 대로변은 상점과 학생들로 붐볐지만, 골목 하나만 들어가면 펼쳐지는 원룸촌은 사람 한명 마주치기가 쉽지 않을 정도로 적막감이 흘렀다.
동대문구 제기동 136번지 일대는 2006년 제기5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예정구역으로 신청 후 조합이 설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업성 악화, 주민갈등 등으로 10여년간 사업이 정체되다 지난해 4월 해제됐다. 그러다 올해 하반기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지로 선정됐다. 재개발 지역에서 도시재생 뉴딜사업지로 변경 된 것이다.
이제 막 사업에 시동을 건 지역답게 골목골목 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을 환영하는 플랜카드가 걸려있다.
인근의 한 공인중개소 관계자는 “재개발 해제 직후 집값이 오르기 시작하더니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까지 더해지자 현재 집값이 너무 올라 거래가 멈춘 상황이다”며 “거래가 안 되다보니 시세를 책정하기도 애매하지만, 3.3㎡당 1500만원 수준에서 현재 호가가 3.3㎡당 3000만원까지 2배 정도 뛰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어 “이 동네는 집주인들이 월세를 받기 위해 원룸만 우후죽순으로 늘려놔 막상 생활에 필요한 상점들은 사라지고 있다”며 이 지역의 문제점을 짚었다.
실제로 한창 이동이 활발한 낮 시간에도 대로변을 벗어나 골목길로 들어가기만 해도 침묵이 흘렀다. 길에서는 자취방을 오가는 학생들 한두명을 마주치는 게 전부였다. 좁은 골목길도 많고 가로등 설치도 미비해 밤 시간 치안도 보완해야할 부분으로 꼽혔다.
이 지역은 대학가 원룸촌인만큼 지역 주민들이 얼마나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참여할지가 미지수다.
또 다른 공인중개소 관계자는 “이 지역은 원룸촌이라서 집주인들 대부분이 월세 장사를 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도시재생 이런 거에 별 관심이 없다”며 “이곳에서 월세를 살고 있는 학생들도 학교 다닐 때만 잠깐 지내는 곳이란 인식이라 얼마나 도시재생에 적극적일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동대문 홍릉 일대, 서울 최초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
서울 동대문구 홍릉 일대는 서울지역에 최초로 선정된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지다. 경제기반형은 도시재생 뉴딜사업 중 가장 규모가 큰 유형으로 새로운 경제거점을 형성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통해 서울 동대문 홍릉 일대를 바이오·의료 연구개발(R&D)의 거점으로 만들고 주변 대학·연구기관·기업·병원을 연계하는 바이오·의료 클러스터를 조성할 방침이다.
홍릉 바이오·의료 클러스터 1단계 사업으로 창업지원 컨트롤타워인 ‘서울바이오허브’가 지난달 5일 개관했다. 이곳은 오는 2021년까지 1689억원이 투입돼 바이오·의료 창업과 유망기업 육성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만들어진다.
이밖에도 ‘첨단의료기기개발센터’, 테스트베드 공간인 ‘홍릉 바이오헬스센터’, 창업 초기기업 성장과 상용화를 지원하는 ‘홍릉 R&D 지원센터’, 종사자의 안정적 주거를 위한 ‘지역전략산업 지원주택’가 조성된다.
동대문구 홍릉 일대는 서울 최초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인 만큼 큰 기대를 받고 있지만 사업이 잘 마무리될 수 있을지 여부가 핵심이다. 정부는 이번 뉴딜사업으로 해당 지역 부동산 시장이 과열될 경우 사업을 중단하거나 연기할 방침이기 때문이다. 또한 2025년까지 진행될 예정으로, 이번 정부에서 사업이 마무리 되지 않는다는 것도 우려되는 점 중 하나다.
업계 한 관계자는 “경제기반형은 우리동네살리기형 등 작은 뉴딜사업보다 그 효과가 기대되는 건 사실이다”며 “다만 사업 진행기간이 긴 만큼 이번 문재인 정부에서 결과물을 보여주기엔 한계가 있으며, 다음 정부에 들어서도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도 장담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