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대한항공, 유럽·동남아지역본부 폐지…"조직 슬림화"


입력 2020.07.20 14:20 수정 2020.07.20 14:20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각국 지점과 직접 협업 통한 의사결정 간소화

본사에 24시간 여객운송 지원센터 신설 운영

여객기 좌석 뜯어 화물기로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

서울 중구 대한항공 서소문 사옥.ⓒ연합뉴스

대한항공이 최근 프랑스 파리 소재 구주(유럽)지역본부와 쿠알라룸푸르 소재 동남아지역본부를 폐쇄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회사측은 20일 " 다국가로 구성된 구주지역본부 및 동남아지역본부를 폐지함다"며 "본사와 (각국의) 지점이 직접 협업하는 업무체제를 구축해 신속하고 간소한 의사결정 체계를 마련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영 환경 변화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직 슬림(Slim)화 차원의 변화를 꾀하기 이뤄졌다.


특히 이번에 폐쇄된 유럽과 동남아지역본부는 미주·중국·일본 등과 달리 다국가로 구성돼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같은 유럽과 동남아 지역이라도 국가별 영업환경이 달라 지역본부체제로 운영하는 것에 대한 효용성 문제가 내부에서도 제기돼 왔다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이다.


회사측은 이번 조직개편에 따른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사와 해당 국가 지점간 협업 체제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각국별로 다른 영업환경에 대해 맞춤형 전략으로 대응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회사측은 “본사와 지점의 효율적인 업무협업을 위해 글로벌 영업지원 조직과 24시간 여객운송 지원센터를 본사에 신설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대한항공은 이번 조직개편으로 미주(LA)와 중국(베이징), 일본(도쿄) 등 3곳에서만 해외지역본부를 가동하게 됐다. 또 이번 해외지역본부 폐쇄 외에 운행중단이 장기화된 해외 지점의 지점장들도 일괄 귀국시킨다는 방침이다.


한편 대한항공은 내달부터 여객기 좌석을 뜯어 화물기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여객 수요가 급감한 가운데 황공 화물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데 따른 방안으로 검토되고 있다.


현재 B777-300ER 여객기를 활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데 향후 보잉사의 허가와 국토부의 승인을 거쳐 내달 운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객기의 좌석을 뜯어내고 화물을 적재하면 화물 수송량은 최소 10톤 이상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대한항공은 지난달 11일부터 사상 처음으로 여객기 좌석에 카고시트백(Cargo Seat Bag·기내 좌석에 짐을 실을 수 있도록 특별 포장된 별도의 가방)을 장착, 기내 좌석 공간을 활용해 화물을 운송하고 있다.


대한항공 B777-300E.ⓒ대한항공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