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한국은행은 "중국 인민은행과 통화스와프 계약을 연장하기로 실무적으로 합의했다"고 8일 밝혔다.
2017년 10월 체결한 한중 통화스와프 계약은 약 560억 달러 규모며, 오는 10월 계약 만료를 앞두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구체적인 내용은 필요한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8월 경상수지 흑자 65억7000만 달러…불황형 흑자 여전
4개월 연속 흑자지만…수출보다 수입 더 많이서비스수지 적자 규모도 7억6000만 달러 축소
[국감2020]부동산금융 익스포저 2170조…올 상반기에만 103조↑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에 쏠린 돈이 217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부동산금융 익스포저 추이’에 따르면 올 상반기 우리나라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위험노출액)은 2170조원으로 2010년(880조원) 대비 147%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만 103조원 늘었다.연평균 익스포저 증가율은 10%로 같은 기간 연평균 민간신용(6.2%),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4.0%)을 크게 상회했다. 이에 따라 민간신용 및 명목GDP …
코로나發 소비위축심화…2분기 가계 여윳돈 64조원
한은, 2분기 중 자금순환 발표신규주택투자 둔화 영향도 한몫
9월 외환보유액 4205.5억 달러…전월比 15.9억 달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가 한 달 새 15억 달러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9월 말 외환보유액'을 보면 우리나라의 지난 달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205억5000만 달러로 전월 말(4189억5000만 달러) 대비 15억9000만 달러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한은은 외화표시 외평채 발행과 외화자산 운용수익 증가 등에 기인해 외환보유액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자산별로 보면 우선 예치금(291억5000만 달러)이 53억3000만 달러 늘었다. 반면 유가증권(3790억8000만 달러)은 37억 달러 …
한은 "美 상황 따라 금융시장 높은 변동성…면밀 점검"
한국은행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향후 글로벌 금융시장이 큰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한은은 4일 이승헌 부총재 주재로 상황점검회의를 열고 트럼프 대통령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등에 따른 추석 연휴 기간 국제 금융·외환시장 동향과 향후 국내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 점검했다.이날 회의에는 이 부총재를 비롯해 이상형 통화정책국장, 김현기 국제국장, 김인구 금융시장국장, 박영출 공보관, 왕정균 투자운용부장, 송대근 외환시장팀장, 김제현 시장총괄팀장 등이 참석했다.한은 관계자는 …
[단독] 안철수, '입만 터는 문과X들이 해먹는 나라' 이국종 만남 추진
[속보] 경찰, 경호처와 10시간 대치 끝 대통령실 압수수색 철수
신생아 화장실서 숨진 채 발견됐는데 부모 ‘혐의없음’, 왜?
2024년 7월 쯔양에게는 무슨 일이 있었나…16일 돌연 조사거부
"女 싱싱할 때 애 낳아라" 男교사 발언 파문…결국 나선 교육청
광명 붕괴 현장서 50대 실종자 1명 발견…사고 엿새만
실시간 랭킹 더보기
[트럼프 스트레스] 美 “중국 관세율 최대 245%”...中 “웃기는 일”
미국 정부가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최대 245%로 발표하면서 한바탕 혼란이 일었다. 미국이 현재까지 밝힌 대중국 누적 관세율은 145%로 이보다 100% 더 오른 ‘엄청난’ 수치이기 때문이다.미 시사주간 뉴스위크 등에 따르면 미 백악관은 15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공개한 팩트시트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이달 2일)에 모든 국가에 관세를 부과한 뒤 75개국 이상이 미국과의 새 무역 협정을 논의하기 위해 연락해왔다며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에 개별적으로 부과된 높은 관세는 중단(유예)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은 보…
[트럼프 스트레스] 美 “공은 中 코트에…우리돈 가지려면 협상하라”
[트럼프 스트레스] 미중 무역갈등 확산에 코스피 2440대 하락
경제 많이 본 기사 더보기
이진곤의 그건 아니지요
국민의힘, 한덕수 포기하고 승리 기약할 수 있나
정명섭의 실록 읽기
경복궁의 이름은?
서지용의 금융 톡톡
잊혀졌던 종합지급결제업의 재등장
그들이 무덤에서 깨어난다면 [기자수첩-정치]
“중국차를 누가 타냐?” 시장의 답은 다르다 [기자수첩-산업]
美 트럼프의 관세유예, 90일의 기회로 삼아야 [기자수첩-정책경제]
· '변동성 끝판왕' 이재명 테마주…상지건설 급등-흥국화재우 급락
· 잇단 싱크홀 사고에…뉴보텍 15%대 급등
· 삼성전자·SK하이닉스,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에 ‘약세’
· 민주당 원격진료 합법화 추진에…케어랩스 등 20%대 급등
· 두산로보틱스, 지능형·휴머노이드 로봇 기대감에 11% 강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