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디오서 이재명 공개비판하며 존재감 과시
"기승전 경제 구상? 언제든 환영" 판 키우기
"경남도지사 재선" 강조하며 대선과 선 긋기
친문 일각 "불씨 살아있다"며 대법 무죄 기대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기본소득 공약을 강하게 비판하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민주당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친문의 대선주자가 없는 상황에서 친문적자로 통하는 김 지사의 등판에 정치권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4일 CBS 라디오에 출연한 김 지사는 "이 지사가 첫 제안한 기본소득 1년에 50만 원이면 연간 26조원"이라며 "1인당 4만원씩 주는 게 더 급한 것이냐. 아니면 위기 가정이나 노인, 기초수급자 등에 조금 더 드리는 것이 사회적으로는 훨씬 더 급한 게 아니냐"고 직격탄을 날렸다.
기본소득 논란의 시발점이 자신이었다는 점을 밝히며 책임을 통감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1차 재난지원금 당시 제일 먼저 전 국민에게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해야 한다고 제가 제안을 했다"며 "그 뒤에 지원금 지급할 때마다 보편성 논란이 벌어지고 기본소득까지 이어져 정리를 할 필요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태풍이 왔다고 지역의 모든 국민들에게 지급하진 않는다. 그건 너무 기본적인 것"이라며 "코로나가 광범위하고 피해가 크니까 전 국민 지급이나 여러 논의가 되는 건 이해가 되는데, 평상시에도 기본소득으로 가야 된다고 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강조했다. "기승전 기본소득, 기본소득 만능론은 틀렸다"고도 했다.
"기승전 경제에 대한 구상도 함께 논의해보자"는 이 지사의 제안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환영"이라며 판을 키웠다. 김 지사는 "가덕 공항을 중심으로 부울경 지역의 물류산업에 대한 경제계의 기대, 지역 주민들의 기대도 한번 느껴보실 필요가 있다"고 응수했다.
확대해석을 경계한 듯 대선 출마 여부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김 지사는 "경남도지사로서 4년 만에 국가 균형발전의 결과를 내기는 어렵기 때문에 가능하면 경남지사 재선에 도전하고 싶다"며 "권역단위로 또 하나의 수도권을 만드는 게 저로서는 운명 같은 숙제"라고 말했다.
당내에서도 김 지사의 대선 출마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김 지사는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 2심에서 유죄를 받아 당적이 정지돼 있는 상태다. 설사 대법원에서 무죄 취지로 판결이 뒤집힌다고 해도 최종 확정까지는 시간이 필요한데, 물리적으로 민주당 대선 경선 일정에 참여하기 쉽지 않다.
당내 일각에서는 대선 경선 연기 주장이 나오지만 이것도 현재 상황에서 관철되긴 쉽지 않다. 당헌당규 수정을 위해 당원은 물론이고 각 후보들의 동의를 구해야 하기 때문이다. 민주당 대선 경선 일정에 맞춰 정치 행보를 이어온 후보들은 연기에 반대할 공산이 크다.
하지만 대법원에서 무죄 판결이 조기에 선고된다는 전제하에, 출마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긴 어렵다. 대법 판결로 분위기 반전이 가능한데다가, 친문 대선후보라는 이점도 살릴 수 있다. 여론의 흐름이 넘어온다면 경선 연기도 불가능은 아니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불은 꺼졌지만 불씨는 살아있다"고 표현했다.
김 지사도 '불출마'라는 단어를 입에 담진 않았다. '무죄가 나온다면 어떻게 할 생각이냐'는 물음에 "무죄를 전제로 어떻게 하겠다고 얘기하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다"면서도 "대법원에서는 사건의 객관적 진실에 입각한 결론이 나올 거라고 생각하고 있고, 그것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자신감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