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질환 상시 감시체계에 코로나19 포함
해외여행력 없더라도 의료진 판단에 따라 진단
전문가들 "환자 수 증가 대비하라"
감염경로가 파악되지 않은 코로나19 확진자들이 발생하면서 당국은 접촉자들에 대한 봉쇄정책과 함께 지역사회 감염 대비책을 검토하고 있다. 18일부터 상시 독감 감시체제에 코로나19가 포함되며, 요양기관의 면회는 제한된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이날부터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바이러스 감염증 병원체 감시체계'(KINRESS)에 코로나19가 포함된다. KINRESS는 전국 17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소에서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바이러스(세균 4종, 바이러스 8종)의 발병과 감염 경로를 검사하는 국가 감시체계로 현재 52개 의료기관에서 진행하고 있다. 당국은 코로나19를 포함시키는 동시에 검사기관을 200여 개 의료기관으로 늘릴 계획이다.
또한 지역사회 감염 초기진화 핵심은 환자의 조기발견과 격리로 보고 일반 환자에 대한 진단을 강화한다. 코로나 19가 메르스 보다 치사율은 낮지만 증상이 경미한 상황에서도 빠르게 전파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이에 따라 해외여행력이 없더라도 의료진 판단에 따라 코로나19 진단검사가 실시되며, 원인 불명 폐렴 등으로 입원 중인 환자에게도 진단검사를 시행할 수 있도록 지침 개정이 이뤄질 예정이다. 노령 환자가 많은 요양기관의 면회는 제한된다. 이미 일부 노인병원에서는 면회객의 전면 통제를 실시하고 있다.
정은경 코로나19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8일 정례브리핑에서 "홍콩과 싱가포르, 일본, 태국, 대만 등 해외에서는 최초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환자와 환자의 지인들, 밀접접촉자 중에서 환자가 발생하는 양상이었다"며 "우한발로 시작된 유행이 2차, 3차 감염자를 통해서 다른 유행으로 진행되는 국면"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임국자 검역과 접촉자 자기격리 등 봉쇄전략을 추진하는 동시에 지역사회 감염 대비책을 같이 가해야 하는 시기"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도 지역사회 감염이 시작됐다고 보고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환자 폭증에 대비해 의원급까지 대응에 참여토록 하는 한편, 중환자의 경우에는 대형병원이 치료를 분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는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29번 30번 환자의 경우 역학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이라도, 병원 입장에서는 지역사회 감염으로 보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며 "현재 공공기관과 보건소, 병원 등 500여 곳에 선별진료소가 설치돼 있는데 이 수준으로는 감당하지 못한다"고 했다.
이어 "지역감염이 시작되면 환자 수가 늘고 감기환자도 코로나19인지 아닌지 고민해야할 단계가 되면 중소병원과 의원급도 코로나19에 참여해야 하는 상황이 온다"며 "중소병원이나 의원급이 나서기에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정부가 지원과 안전대책 등 구체적인 방안을 미리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재필 서울의료원 감염내과 전문의는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역사회 내 감염이 확산되고 환자가 많아지는 순간에는 발견된 환자를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가 중요해진다"며 "공공의료기관만으로는 안 되고 민간의 대형병원까지 중환자를 잘 배분해 중증도를 떨어뜨려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