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이통3사 5G 성적표 공개…‘속도’ SKT ‘커버리지’ LGU+ ‘실내’ KT


입력 2020.12.30 11:00 수정 2020.12.30 10:20        김은경 기자 (ek@dailian.co.kr)

SKT, 업·다운로드 속도 모두 ‘1위’…LTE 전환율도 가장 낮아

평균 다운로드 690.47Mbps…상반기 대비 33.91Mbps 향상

이동통신 3사 5G 서비스 커버리지 맵 현황.ⓒ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동통신 3사의 올해 5세대 이동통신(5G) 품질 평가 성적표가 나왔다.


가장 빠른 속도를 구현한 곳은 SK텔레콤이다. LG유플러스는 가장 넓은 면적에 5G 기지국을 촘촘히 구축했다. KT는 실내·시설과 교통인프라 구축에서 가장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30일 발표한 ‘2020년도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5G 서비스 평가대상 지역은 상반기 서울과 6대 광역시만을 대상으로 했으나, 하반기에는 전국 85개 시 주요 행정동으로 확대했다.


이동통신 3사 올해 5G 서비스 품질평가 결과.ⓒ과학기술정보통신부

먼저 통신사별 다운로드 속도는 ▲SK텔레콤 795.57Mbps(상반기 대비 6.60Mbps↑) ▲KT 667.48Mbps(상반기 대비 15.38Mbps↑) ▲LGU+ 608.49Mbps(상반기 대비 79.89Mbps↑) 순으로 나타났다.


업로드 속도 역시 ▲SK텔레콤 69.96Mbps ▲KT 60.01Mbps ▲LG유플러스 59.99Mbps로 SK텔레콤이 가장 빨랐다.


이통 3사 평균 다운로드 전송속도는 상반기(656.56Mbps) 대비 33.91Mbps 향상된 690.47Mbps 수준으로 개선됐다. 평균 업로드 전송속도는 63.32Mbps다.


5G 커버리지 내에서 5G 서비스를 이용하던 중 LTE로 전환된 비율은 다운로드 시 평균 5.49%(상반기 6.19%), 업로드 시 평균 5.29%(상반기 6.19%)로 상반기보다 줄었다.


통신사별로 보면 다운로드 시 ▲SK텔레콤 3.95% ▲LG유플러스 4.29% ▲KT 8.22% 순으로 SK텔레콤 이용자가 가장 LTE 전환 없이 5G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 3사 5G 서비스 커버리지 현황.ⓒ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비스 제공 범위인 이통 3사 커버리지 맵을 점검한 결과 85개 시 커버리지 면적은 이달 기준 통신사별로 ▲LG유플러스 6064.28㎢ ▲SK텔레콤 5242.68㎢ ▲KT 4920.97㎢로 LG유플러스가 가장 넓은 면적에서 서비스를 제공했다.


통신사가 공개하고 있는 커버리지 정보가 과대 표시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은 3사 평균 약 478.17㎢ 면적, 6대 광역시는 약 1417.97㎢ 면적에서 5G 서비스를 제공해 임야를 제외하면 주요 지역 상당 부분에서 5G를 이용할 수 있었다. 78개 중소도시는 약 3513.16㎢ 면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도심을 중심으로 확대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화점‧도서관‧공항 등과 대학교‧유동인구 밀집거리 등 주요 다중이용시설에서 5G 이용이 가능한 전체 시설 수는 통신사별로 ▲KT 4571개 ▲SK텔레콤 3814개 ▲LG유플러스 2072개 순서였다.


85개 시의 주요 다중이용시설 총 4516개 중 5G를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은 지난달 기준 2792개(61.8%)로 집계됐다. 이 시설 내에서 5G 서비스에 안정적으로 접속 가능한 면적 비율인 실내 접속 가능 면적 비율은 90.99%로 상반기(67.93%) 대비 높아졌다.


이동통신 3사 다중이용시설 등 5G 구축 현황.(단위: 개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하철의 경우 지하역사 총 424개(전체 649개 중 65.3%)에서 5G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 상반기(313개) 대비 35.5% 증가했다. 수도권 지하철은 평균 233개(전체 458개 중 50.9%)에 5G를 구축하고, 비수도권 지하철(광주‧대구‧대전‧부산)은 구축 완료됐다.


고속도로 20개 노선에서는 102개 구간 중 3사 평균 72개 구간(약 70.6%)에 구축됐다. 사업자별 구축 구간 수는 ▲KT 78개 ▲LG유플러스 75개 ▲SK텔레콤 63개 수준이다.


고속철도(KTX·SRT) 역사는 평균 52개 역(총 54개 역), 역사 간 46개 구간(총 55개 구간)에 구축됐다. 통신사별 구축 역사 수는 ▲KT 54개 ▲LG유플러스 53개 ▲SK텔레콤 48개다.


이번 조사 결과 관련 SK텔레콤은 “고객들의 5G 체감품질에 직접적인 속도는 물론 LTE 전환율, 접속 속도 등 10개 품질 측정 항목 가운데 8개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인빌딩, 지하철 등 이용이 잦은 모든 측정공간에서 가장 빠른 속도와 품질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어 “커버리지와 다중이용시설 평가는 사업자 자체 제출 결과로 단순 비교가 어렵다”며 “SK텔레콤은 실제 검증이 이뤄진 다중이용시설에서도 가장 빠른 속도와 안정된 품질을 보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KT는 “고객의 실질적인 체감 품질 향상을 위해 커버리지 확보와 시설투자에 주력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개했다”며 “앞으로도 고객이 5G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커버리지를 지속 확대하고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올해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전국 5G 서비스 커버리지 1위를 달성했다”며 “타사 대비 20% 적은 주파수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대비 하반기 5G 다운로드 속도가 15% 이상 증가해 통신사 중 가장 높은 속도 개선을 이뤄냈다”고 설명했다.


이어 “LTE 다운로드 속도 품질 유지에 주력한 결과 타사가 지난해 대비 4~11Mbps 감소한 데 비해 LG유플러스는 지난해와 동등 수준을 기록했다”며 “내년 5G 주파수를 추가로 확보하는 한편 빔포밍과 최적화 기술을 적용해 품질을 한층 업그레이드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동통신 3사 올해 LTE 서비스 품질평가 결과.ⓒ과학기술정보통신부

LTE 다운로드 속도는 평균 153.10Mbps(지난해 158.53Mbps 대비 5.43Mbps↓), 업로드 속도는 평균 39.31Mbps(지난해 42.83Mbps 대비 3.52Mbps↓) 수준으로 소폭 감소했다.


도시 규모별 다운로드 속도는 대도시 186.10Mbps(지난해 183.58Mbps), 중소도시 154.01Mbps(지난해 160.96Mbps), 농어촌 118.29Mbps(지난해 128.52Mbps) 순이었다.


통신사별 다운로드 전송속도는 ▲SK텔레콤 207.74Mbps ▲KT 142.09Mbps ▲LG유플러스 109.47Mbps 수준이다.


상용 WiFi 다운로드 속도는 381.32Mbps(지난해 333.51Mbps), 개방 WiFi는 414.66Mbps(지난해 374.18Mbps), 공공 WiFi는 335.41Mbps (지난해 394.76Mbps)로 측정됐다.


유선인터넷 주요 사이트 웹 접속 소요시간은 ▲500Mbps급 및 1Gbps급 서비스는 평균 0.63초(지난해 0.77초) ▲100Mbps급 서비스는 0.64초(지난해 0.80초)로 단축됐다.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의 경우, 영상서비스 제공사업자(유튜브·네이버TV·카카오TV)의 영상 다운로드 전송속도는 평균 19.36Mbps(지난해 16.63Mbps) 수준이다. 사업자별 영상 다운로드 전송속도는 유튜브 17.65Mbps, 네이버TV 19.98Mbps, 카카오TV 20.44Mbps 순서였다.

김은경 기자 (e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김은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