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청 갈등 있어도 대선서 도움 판단, 표심 확보 가능
전문가 "李에겐 '꽃놀이패' 소상공인 돌려 세울 것"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의 추경 압박이 점차 거세지고 있다. 코로나19 민심을 다잡겠다는 의도인데, 추경을 통해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 등에게 금융지원이 아닌 완전한 보상을 하겠다는 구상이다. 여당도 이날 열린 당정에서 추경에 대한 이야기를 정부 측에 재차 전달했다. 윤호중 민주당 원내대표는 추경을 하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2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코로나19 비상대책본부 2차 당정협의'에서 민주당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선(先)지원·후(後)정산' 방식을 더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선지원·후정산'은 이 후보의 공약 사항으로 '사후가 아닌 사전에, 금융 대신 재정을 통해 보상'이 핵심이다. 다만 일부가 아닌 완전한 보상인 만큼 추경을 통한 재원 확보가 뒤따라야 한다.
신현영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추경에 대해 정부는 구체적인 답변을 하지 않았지만 코로나 관련 예산 확대는 불가피할 것"이라며 "정부의 구체적 대응 방안을 다시 한번 당부하고 과감한 투자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전달했다"고 말했다.
윤호중 원내대표도 이날 모두 발언에서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당은 이달에만 수차례 추경과 관련한 사안을 정부 측에 요청했다. 정부는 달갑지 않다는 반응이지만, 이날 당정협의에서 거리두기 연장에 공감대를 형성만 만큼 추경에 대한 여당의 압박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지난 28일 기자간담회에서 "만약 (거리두기가) 연장되면 당이 정부에 추경 편성 요구를 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본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 후보도 지난 28일 정강정책 발표 당시 "야당에서도 50조원 또는 100조원 규모의 보상지원을 주장하고 있다"며 "재난 앞에 여야가 어디 있고, 정치적 유불리가 또 어디 있겠냐. 전향적인 협조를 요청드린다"고 재차 압박을 가했다.
추경에 난색을 표하는 정부에 맞서면서 까지 이 후보와 여당이 추경 필요성을 거듭 제기하는 것은 코로나19 민심을 잡기 위해서다. 이번 대선에서 코로나가 주요 이슈로 자리잡은 만큼 당청 갈등을 일부 보이더라도 피해 지원책 마련이 대선 승리에 더 도움이 된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태일 영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 후보 측 입장에선 코로나 지원대책이 일종의 '꽃놀이패'"라며 "문 정부에 실망한 이들을 돌려 세울 수도 있고 야당 역시 반대하지 못하는데, 공은 자신이 챙길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당정은 오는 1월 초 다시 협의를 갖고 거리두기에 따른 후속 조치와 개선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