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선 코앞, 현 체제 인정해야…이젠 지나간 문제"
윤호중 '정면돌파' 내달 1일 중앙위 열어 인준 절차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인선을 두고 논란이 인 가운데, 당내에서 현 체제를 인정하자는 현실론으로 무게추가 기우는 분위기다. 지방선거가 2달여 앞으로 다가온 만큼 마땅한 대안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그간 분출되던 잡음도 잦아들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초선 의원 모임인 더민초는 21일 전체 워크숍을 열고 대선 평가와 당면 과제 등을 논의했다.
이날 워크숍은 자유토론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주로 부동산과 2030세대 등 대선 패배 원인 및 정치개혁 의제가 다뤄졌다.
윤호중 비대위 체제와 관련해 의견을 내는 의원들은 일부에 그친 것으로 전해진다. 운영위원장인 고영인 의원은 "당면 과제를 중심으로 더 적극적으로 (운영해) 나가야 하지 않느냐는 공감을 이뤘다"며 "비대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의원도 아주 소수는 있었다"고 말했다.
회의에 참석한 한 의원은 "비대위에 대해 발언한 의원들도 없지 않았다"며 "다만 말 그대로 일부였을 뿐이고, 대체로 대선 평가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제 비대위는 지나간 얘기다. 언제까지 비대위 얘기만 할 순 없다"며 "지방선거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대체로 인정하자는 분위기가 형성된 듯 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의원도 "현 비대위에 대해 반대하는 의견도 나왔지만, 현재 체제를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며 "당장 비대위를 새로 짜기에는 시기적으로 맞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간 비대위 인선을 두고 촉발한 당내 갈등이 봉합되는 수순이다. 윤 비대위원장은 지난 18일과 20일 '책임정치 실현'을 앞세워 현 비대위 체제로 개혁 과제를 완수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바 있다. 당시 공개적인 반대 의견은 나오지 않았지만 일부 의원들이 반발을 내놓으며 여진이 지속되는 듯 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다만 점차 현실론이 확산되면서 과열됐던 당내 분위기도 진정될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 한 의원은 "비대위원장의 선출 과정과 책임에 대한 문제가 불거졌던 것도 사실이지만, 가장 중요한 지선이 코앞으로 다가왔다"며 "이번주 원내대표가 새로 뽑히면 비대위를 조율하면서 당내 반발을 불식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민주당은 다음달 1일 당 최고 의결기구인 중앙위원회를 열어 윤호중·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인준받기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