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레미콘→건설 이어지는 연쇄적인 셧다운 피해 우려
포스코, 포항제철소서 출하 못해 창고 포화 상태 이르러
항만 등 주요 물류 거점, 신선식품 등 일부 품목을 비상 수송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화물연대)의 총파업이 닷새째 이어지자, 일각에선 다음 주쯤 건설·철강 등의 업종에서 물류 운송 차질로 인한 피해가 확산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1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화물연대 포항본부 조합원 500여명은 포스코 3문과 운송업체 앞 등 포항과 경주 10여곳에서 집회를 이어갔다.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육송 출하 전면 중단 사태도 지속돼 이날만 육송 물량 2만톤(t)을 출하하지 못했다. 파업 이후 매일 이만큼의 물량이 출하하지 못하고 있다.
대전에선 한국타이어와 한온시스템 등 두 곳에서 조합원 60여명이 파업의 당위성을 알리는 선전전을 벌였다.
한국타이어 대전공장에선 하루 평균 70여대 컨테이너가 타이어를 싣고 나갔지만, 지금은 전날 기준 20여대만 운송되고 있다.
화물연대 충북지부가 한일시멘트 단양공장 등에서 천막을 치고 교대로 집회를 열자, 이들 시멘트회사는 벌크트레일러(BCT)를 이용한 시멘트 육로수송을 중단했다. 영월 한일시멘트 등 강원지역 시멘트회사들도 파업 여파로 BCT 차량 행렬이 사라진 상태다.
인천항 컨테이너터미널과 물류창고, 제주항 등에서도 노조원들의 파업 선전 활동이 닷새째 이어졌다. 이로 인해 시멘트→레미콘→건설업계로 이어지는 연쇄적인 셧다운으로 인한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시멘트 수송 중단으로 인해 생산한 시멘트를 일시 저장하는 사일로가 시멘트 회사들마다 가득 차 파업이 계속될 경우 공장 가동 중단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레미콘업체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 업체는 시멘트 재고가 바닥나 공장 가동을 중단하기도 했다.
철강업계도 비상이다. 포항제철소는 생산한 제품을 출하하지 못해 창고에 저장하고 있는데, 이마저도 점차 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어 제품창고 공간 확보와 함께 긴급재 운송을 위해 힘쓰고 있다.
포항제철소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사태가 지속될 경우 고객사와 철강산업 전반에 큰 피해가 우려된다.
생산했지만 운송하지 못한 타이어를 빈 컨테이너에 쌓아두고 있는 한국타이어 측도 총파업이 다음 주에도 계속될 경우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항만 등 주요 물류 거점에선 신선식품 등 일부 품목을 비상 수송하며 피해를 줄이는 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
평택·당진항의 지난 10일 반출입물량은 226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로 평소의 7.5% 수준이지만 파업 이후 조금씩 늘고 있다.
의왕 내륙 컨테이너 기지(ICD)의 경우 올해 금요일 하루 평균 반출입물량은 4422TEU인데 지난 10일 반출입물량은 441TEU에 불과했다. 평상시의 약 10.0% 수준이다.
화물연대 전북지역본부는 하루 이틀 묶어두면 폐기해야 하는 생물 컨테이너와 곡물 사료 등의 물량을 출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