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빅스텝 후폭풍] 금융당국 대출 이자 억누르기…이복현 적극 행보


입력 2022.07.14 14:38 수정 2022.07.14 16:03        김효숙 기자 (ssook@dailian.co.kr)

신한은행 방문…취약차주 보호

예대금리차 공시 앞두고 압박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4일 오후 서울 중구 신한은행 남대문지점을 찾아 경제 여건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영업자들의 금융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간담회를 가진 후 고객과 대출 상담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시중은행 지점을 방문해 대출자의 이자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금융당국 수장들이 이자 장사를 자중하라는 경고에 이어 직접 현장까지 방문해 대출 금리 인하를 압박하는 모양새다.


한국은행이 사상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한 상황에서 금리 산정을 둘러싼 은행의 고민은 더욱 깊어질 예정이다.


14일 금감원에 따르면 이복현 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신한은행 남대문 지점에 방문해 남대문시장 상인들의 금융 관련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취약 차주의 금융 비용 부담이 과도하게 커지지 않도록 은행권이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원장은 “최근 경제여건이 악화되면서 자영업자 등 취약차주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며 “금융권이 자율적으로 취약차주 보호 및 부담완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신한은행을 비롯한 은행권이 다양한 취약차주 지원방안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는 것에 대해 고맙게 생각한다”며 “차주들이 급격한 상환부담을 겪지 않고 연착륙할 수 있도록 은행권에서 적극 노력해 달라”고 강조했다.


앞서 신한은행은 지난 3일 은행권에서 제일 먼저 취약차주 지원 프로그램에 나섰다. 올해 6월 말 기준 연 5%가 넘는 금리로 주담대를 이용 중인 취약 차주의 이자율을 1년간 연 5%로 일괄 인하하고 이를 넘는 이자는 은행이 부담하기로 했다.


우리·하나·NH농협·KB국민은행도 주담대와 전세대출 금리를 내리는 등 차례로 금리인하 대열에 합류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4일 오후 서울 중구 신한은행 남대문지점을 찾아 경제 여건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영업자들의 금융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간담회를 가진 후 고객과 대출 상담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아울러 금감원은 취약자추의 이자 부담을 덜겠다며 은행권 금리상한형 주담대 판매기간을 재연장하겠다고 발표했다.


국민·신한·우리·농협·IBK기업·DGB대구·BNK부산·광주·경남·SH수협 등 11개 은행은 이번 달 15일까지였던 해당 상품의 판매기간을 연장하기로 했다.


금융당국 수장들은 최근 잇따라 은행권 이자 장사에 대해 경고음을 내고 있다. 대출 금리를 내린 은행 현장을 찾거나 지원책을 잇따라 발표하는 등 취약차주 지원을 강조하며 본격적으로 대출 이자를 억누르려는 모습이다.


이 원장은 지난달 20일 은행장과의 간담회에서 “금리 상승기에 예대금리차가 확대되는 경향이 있어 은행들의 지나친 이익 추구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며 쓴소리를 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도 지난 11일 취임식 직후 기자들과 만나 “고객이 어려운데 은행이나 금융사는 돈을 많이 번다. 이게 상식적으로 맞는지에 대한 질문은 할 수 있다”며 “이런 이슈는 우리 사회가 갖는 상식적 질문과 답변의 문제”라고 했다.


다음달부터는 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차이를 보여주는 예대금리차 비교공시가 시행되면서 대출금리 인하 압박이 더 커질 전망이다. 이자 마진이 매달 공개되는 탓에 은행으로서는 금리 산정을 놓고 정부와 여론의 눈치를 살필 수밖에 없다.


문제는 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한은은 전날 빅스텝을 단행해 기준금리를 2.25%까지 올렸다. 연말까지 기준금리는 최고 3%까지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연일 대출금리 인하에 대한 메시지를 내면서 은행으로서는 마냥 대출금리를 올릴 수 없는 처지에 놓인 실정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기준금리와 시장금리가 계속 오르는 상황에서 취약차주 보호방안도 고려해야 할 때”라면서도 “금리 산정을 둘러싼 다각적인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효숙 기자 (ssoo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효숙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