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사망자가 31만 명을 넘어서면서 2년 연속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이 가운데 코로나19로 사망한 사람은 5천명을 넘었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사망 원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 수는 31만7천68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2천732명(4.2%) 증가했다.
사망자 수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3년 이래 가장 많았다.
이로써 연간 사망자 수는 2020년에 이어 2년 연속 최대치를 기록했는데, 60대(8.2%), 80세 이상(7.0%), 20대(2.7%)에서 주로 늘었다.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를 뜻하는 조사망률은 618.9명으로 1년 전보다 25.0명(4.2%) 증가했다. 이 수치도 1984년(585.2명) 이후 역대 가장 많은 수준이며, 2009년(497.3명)을 저점으로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하루 평균 사망자 수는 870명으로 지난해보다 37명 많았다. 연령 구조를 표준화한 연령표준화 사망률(표준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은 298.3명으로 1.7명 감소했다.
전체 사망자 가운데 80세 이상 초고령 사망자가 차지하는 비중(50.0%)은 사상 처음으로 절반에 달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초고령 사망자 비중이 15.2%포인트 올라간 것이다.
성별로는 남성 사망률이 672.0명으로 여성 사망률(566.0명)을 웃돌았다.
특히 60대의 경우 남성 사망률이 여성의 2.8배에 달했다.
출생아 수가 줄어들면서 영아 사망(출생 후 1년 이내 사망)도 꾸준히 감소세다.
지난해 영아 사망자 수는 626명으로 전년 대비 48명(-7.1%) 줄었다. 이 기간 출생아 수는 4.3%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