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국민화합·민생안정의 계기 마련하길"
한국 "'촛불청구서'에 대한 결재…국민이 심판할 것"
바른미래 "총선 앞둔 제 식구 챙기기에 불과"
새보수 "새해 희망은커녕 절망과 탄식이 앞서"
민주평화 "선거사범 포함, 국민정서 부합하는지 의문"
대안 "국민통합 차원에서 사면 단행한 것으로 평가"
민주 "국민화합·민생안정의 계기 마련하길"
한국 "'촛불청구서'에 대한 결재…국민이 심판할 것"
바른미래 "총선 앞둔 제 식구 챙기기에 불과"
새보수 "새해 희망은커녕 절망과 탄식이 앞서"
민주평화 "선거사범 포함, 국민정서 부합하는지 의문"
대안 "국민통합 차원에서 사면 단행한 것으로 평가"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단행한 특별사면과 관련해 여야가 엇갈린 반응을 내놨다.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후 발표한 서면 브리핑에서 "'2020년 신년 특별사면'이 사회적 갈등 치유와 지역공동체 회복에 기여함으로써, 국민 화합과 민생안정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 바란다"고 말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이어 "2008년 총선과 2010년 지방선거 관련 선거사범과 정치, 노동계 인사 및 사회적 갈등 사건 관련자들을 사면, 복권함으로써 사회적 갈등 완화 및 국민통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홍 수석대변인은 △공천관련 금품 수수사범 △선거관련 사범 △강력범죄자 △부정부패 관련 경제인 등을 사면 대상에서 제외한 것과 관련해 "과거처럼 특별사면이 일부 특권층에 대한 면죄부로 악용되지 않도록 한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전희경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같은 날 논평에서 이번 특별사면을 '코드사면' '선거사면'으로 규정하고 "서민 부담 경감은 허울일 뿐 선거를 앞둔 '내 편 챙기기', '촛불청구서'에 대한 결재가 이번 특사의 본질"이라고 꼬집었다.
전 대변인은 이어 "대통령이 사면권마저 총선용으로 전락시켜 정권연장을 위한 촛불청구서에만 화답중"이라며 "대통령에게 민생, 국정은 사라진 단어가 되어 버렸다. 국민과 나라의 안위는 없고 오로지 정권만 챙기는 문재인 대통령과 집권여당의 행태를 국민들께서 반드시 심판하실 것이다"고 말했다.
강신업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이번 대통령의 특별사면은 내년 총선을 앞 둔 자기 식구 챙기기에 불과하다"며 "야당 인사가 포함됐다고는 하나 이는 구색 맞추기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강 대변인은 "특별사면은 제왕적 대통령의 사리나 당리를 위한 것일 수 있어 특별히 자제되어야 한다"며 "이번 대통령의 특별사면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김익환 새로운보수당 대변인은 같은 날 논평을 통해 "사면의 면면을 보면 새해 희망은커녕 절망과 탄식이 앞선다"며 "특별사면 통해 새해 대국민 화합의 계기를 마련하겠다는 정부의 일성은 공허한 구호가 되었다는 사실을 직시하길 바란다"고 꼬집었다.
김 대변인은 특히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의 특별사면을 "‘촛불청구서’와 ‘국민의 상식’을 맞바꾼 행위"라고 지적하며 "전형적인 민주노총 눈치보기"라고 평가했다.
박주현 민주평화당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이번 특별사면 중 서민생업의 부담을 덜어주고자 한 부분과 사회적 갈등 사건 관련자들을 사면한 것은 나름의 의미가 있다고 본다"면서도 "양심수들은 제외되고 선거사범은 포함된 점은 국민정서에 부합하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최경환 대안신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대통령의 사면권을 행사한 것으로 받아들인다"며 "밀양송전탑 공사와 제주 해군기지 건설, 세월호 집회, 사드배치 관련자 등 사회적 갈등문제를 해결하고 국민통합 차원에서 사면을 단행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번 특별사면 명단엔 △이광재 전 강원지사 △곽노현 전 서울시교육감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 등이 포함됐다. 야권 인사 중엔 공직선거법·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지난 2013년과 2011년 각각 형이 확정된 신지호 전 새누리당 의원과 공성진 전 한나라당 의원이 특별사면을 받았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