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C기술 기반 생태계 구축…R&D·표준화 지속 노력
2022년까지 1200억 투입…공공부문 디지털 혁신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3회 추경으로 추진되는 ‘5세대 이동통신(이하 5G) 융합서비스 발굴 및 공공선도 적용’ 사업을 본격화 한다고 22일 밝혔다.
디지털 뉴딜의 일환으로 2020년 4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본 사업은 모바일 엣지컴퓨팅(MEC) 기술 기반의 5G 융합서비스를 발굴하고 공공부문에 선도 적용해 5G 산업 생태계를 조기 구축하기 위한 사업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2022년까지 총 1200억원의 예산을 투입, 15개 이상의 5G 융합서비스를 발굴해 공공부문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5G 융합서비스의 민간 확산, 엣지컴퓨팅 연구개발(R&D) 및 표준화 등 5G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도 지속 노력할 계획이다.
오상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우리는 세계 최초 5G 상용화에 이어 5G 산업 생태계 조기 구축이라는 또 다른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며 “5G 통신망이 가진 초저지연·초고속의 잠재력을 현실화 하는 모바일 엣지컴퓨팅(MEC)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융합서비스가 창출되고, 글로벌 5G 산업을 선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