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삼성전자, 올해 글로벌 폴더블폰 점유율 73%


입력 2020.12.23 16:31 수정 2020.12.23 16:31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글로벌 폴더블폰 총 출하량 280만대

내년 시장 올해보다 2배 이상 급성장

2020년 글로벌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 점유율 ⓒ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올해 출하된 글로벌 폴더블 스마트폰 10대 중 7대는 삼성전자의 제품으로 나타났다.


23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최근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전망자료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폴더블폰 출하량은 280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전체 출하량의 73%를 차지하면서, 선두주자로 시장을 선점했다.


삼성은 상반기에 가격을 낮추고 휴대성을 강화한 갤럭시 Z플립을, 지난 9월에는 갤럭시 폴드의 후속작인 갤럭시 Z 폴드2를 출시했다. 전작 대비 개선된 성능으로 호평을 받았으나, 여전히 높은 가격대와 코로나 19로 인한 소비자들의 소비 저항감이 맞물리면서 제한적인 성장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삼성의 점유율이 높은 유럽과 국내에서 전체의 55%가 판매됐고, 또 다른 폴더블폰 제조사인 화웨이의 영향으로 중국이 25%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화웨이는 지난해 말에 자사 첫 폴더블 모델인 Mate X를 출시했고, 지난 3월에 후속작인 Mate Xs를 내놓으며 야심 찬 행보를 보였지만, 미국의 제재로 큰 타격을 받았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임수정 연구원은, “삼성은 폴더블폰의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가장 앞서고 있지만, 핵심 부품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 수급 측면에서 타사 대비 매우 유리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당분간 시장에서의 절대적인 지위는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특히 폴더블 폰 관련 라이벌이었던 화웨이가 비즈니스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으로 인해 내년도 폴더블 폰 시장 점유율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내년 폴더블폰 시장은 올해 보다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2년에는 급격한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샤오미를 비롯한 중국 OEM들이 시장에 진입할 것으로 보이며, 빠르면 2022년 하반기에 애플의 첫 폴더블 폰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약 1700만대 규모로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관측된다.


임 연구원은 “애플이 폴더블 시장에 진입하면서 북미 지역에서의 판매가 활성화 되고, 디스플레이패널 수급이 원활해 지면서 디스플레이 가격이 내려갈 때 폴더블 시장은 본격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이르면 2022년 하반기, 늦어도 2023년쯤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삼성이 폴드와 플립 형태의 폼팩터를 계속 테스트하면서 시장 반응을 살피는 가운데, LG를 비롯한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차기 전략 제품으로 롤러블폰을 언급하는 등 미래 스마트폰 시장을 이끌 최적의 폼팩터를 찾기 위한 OEM들의 경쟁이 점차 가열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