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취임 첫해 "최소 격년에 한 번 찾겠다"
2018년엔 지방선거 등 정치 일정 고려해 불참
2019·2020년 참석해 철저한 진상규명 등 약속
올해는 21일 한미정상회담 준비로 불참한 듯
5·18 광주 민주화운동이 18일로 41주년을 맞았다. 국가보훈처는 이날 오전 10시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우리들의 오월'을 주제로 기념식을 개최한다. 여야 지도부는 물론 대권 주자들도 기념식에 참석하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은 불참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이날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는다. 이를 두고 정가에서는 여러 해석이 나온다. 우선 오는 2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후 첫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반도 현안 점검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문 대통령은 전날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이번 방미를, 백신 협력을 강화하고 백신 생산의 글로벌 허브로 나아가는 계기로 삼겠다"며 "한편으로는 우리 경제의 빠르고 강한 회복세가 민생 전반의 온기로 확산될 수 있도록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최소 격년에 한 번은 찾겠다'고 했던 자신의 약속과도 관련돼 보인다. 문 대통령은 2017년 취임 후 8일 만에 열린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대통령 임기까지 매년 참석토록 노력하겠지만 안 된다면 격년이라도 참석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현직 대통령으로서 9년 만에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불러 강한 인상을 남겼다.
문 대통령은 실제 이듬해 기념식에 불참했다. 여기에는 지방선거 한 달 전이라는 시기적 특성도 고려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이 선거를 앞두고 지역을 방문하면 '여당 후보 지원' 등의 정치적 논란이 번질 수 있어 지역방문을 최소화하자는 게 당시 청와대 내 분위기였다. 또 당시에는 한미정상회담을 닷새 앞둔 시기기도 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페이스북 글을 통해 계엄군에 의해 벌어진 성폭행 사건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피해자 한 분 한 분이 인간의 존엄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문 대통령은 2019년 5·18 민주화운동 39주년 기념식에 참석했다. 이 때는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일부 의원들의 '5·18 망언' 논란, '5·18 왜곡 처벌법(5·18 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 추진과 관련한 정치권 안팎의 갈등이 이어지고 있던 상황이었다. 문 대통령은 이를 의식해 "4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저는 올해 기념식에 꼭 참석하고 싶었다"며 야당을 향해 "5·18의 진실은 보수·진보로 나뉠 수 없다. 독재자의 후예가 아니라면 5·18을 다르게 볼 수 없다"고 작심 발언을 했다.
문 대통령은 40주년이었던 지난해에도 광주를 찾았다. 40주년 기념식은 사상 처음으로 5·18 최후 항쟁지인 옛 전남도청 앞 광장에서 열렸다. 문 대통령은 "헌법 전문에 '5‧18 민주화운동'을 새기는 것은 5‧18을 대한민국 위대한 역사로 자리매김하는 것"이라며 개헌이 이뤄지면 그 뜻을 살려가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5·18이 2017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후 현직 대통령으로 기념식에 처음 참석한 이는 김대중 대통령(2000년)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재임 기간 5년 동안 매년 기념식에 참석했다. 보수 정권의 이명박 대통령은 2008년, 박근혜 대통령은 2013년 단 한 차례만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