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0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조선업 ‘고용 위기지역’ 연장 여부 오후 발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목표를 각각 4%대, 3%대 초반’으로 제시했다. 또 조선업 고용위기 극복을 위해 해 말 만료 예정인 특별고용지원업종 및 고용위기지역 지정 연장 여부를 이날 오후 발표한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 서울청사에서 ‘제50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2022년 경제정책방향 준비 상황을 언급하면서 경제성장률 목표를 밝혔다.
홍 부총리는 “올해 반드시 4%대 성장 시현, 내년 3%대 초반 성장 목표라는 프레임 아래 연말 마지막까지 민간 소비·투자와 4분기 재정 집행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면서 “내년 새 정책과제 발굴에도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2022년은 코로나 위기를 벗어난 일상복귀 원년, 디지털·그린화(化) 등 포스트코로나 어젠다 본격화, 그리고 현 정부와 다음 정부에 걸친 경제운용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내년 경제정책방향은 ▲정상궤도로의 도약 ▲민생경제 회복 ▲리스크 관리 강화 ▲차세대 성장동력 보강 ▲미래과제 선제 대응 등 5가지 카테고리에 경제정책들을 발굴 배치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 회의에서는 조선업 고용위기 극복을 위한 지원현황과 향후계획도 논의했다.
정부는 조선업이 수주량 증가 등으로 업황이 나아지고 있지만, 수주가 고용 증가로 이어지기까지는 1년 6개월에서 2년이 소요돼 고용 여건은 여전히 어렵다고 진단했다.
정부는 특별고용지원업종 및 고용·산업 위기지역 지정 등을 통해 조선업을 지원해왔다. 산업 위기지역 지정기간은 지난 5월에 2년 연장됐지만 특별고용지원업종 및 고용 위기지역 지정 기간은 올해 말 끝난다.
홍 부총리는 “업황이 확실히 개선될 때까지 정책적 지원 지속이 절실하다는 현장 의견을 고려했다”며 “오늘 특고지원업종 및 고용위기지역 지정 연장 문제에 대해 경제중대본회의 논의 및 고용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연장 여부를 결정하고, 결과를 오늘 오후 별도 발표하겠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위축된 해양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해양치유산업 육성에도 나선다. 해양치유산업은 기후나 갯벌 등 해양 자원을 활용해 휴양이나 건강 증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이다.
정부는 2022∼2026년 중장기 산업 대책을 수립하고 2024년까지 완도군·태안군·울진군·경남 고성군 등 4개 지역에 해양치유센터를 조성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