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중국대사관은 최근 일어난 베이징 동계 올림픽 편파 판정 논란에 대해 "일부 한국 언론과 정치인들이 중국 정부와 베이징 올림픽 전체를 비판하고 반중(反中) 정서를 선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9일 주한중국대사관은 위챗 공식계정과 페이스북 등 SNS에 "중국 정부와 베이징 올림픽 전체를 겨냥하고 반중 감정까지 부추겨 양국 국민의 감정을 독화시키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대사관은 "'동계올림픽에 흑막이 있다'는 억측과 '중국 정부와 스포츠 부문이 반성해야 한다'는 무책임한 한국 언론과 정치인들의 말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며 "중국 정부는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결코 경기 결과에 영향을 끼치고 간섭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대사관은 베이징 동계 올림픽 스케이팅 종목에 초고속 카메라 등 첨단 기술이 동원됐고, 영국인 심판장 피터 워스가 평창 올림픽을 비롯한 3차례 올림픽에 나섰다는 사실 등을 언급하며 "동계 올림픽은 국제 스포츠 대회로 경기마다 심판은 국제올림픽위원회와 국제스포츠연맹이 뽑고 어느 나라나 정부도 간섭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했다.
이어 "그러나 일부 한국 언론과 정치인들은 중국 정부와 베이징 올림픽 전체를 비판하고 반중 정서까지 선동하고 양국 국민 감정을 악화시키고 중국 네티즌들의 반격을 불렀다"고 한국 내 반중 정서의 원인을 언론과 정치인에게 돌렸다.
그러면서 "한·중 수교 30년 동안 양국 관계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고, 양국 국민간의 우호적인 감정은 쌍방 공동의 귀중한 재산으로 어떤 감정적인 언행에 의해 상처를 받아서는 안 된다"며 "중국은 양국 관계와 양국 국민간 우호감정을 촉진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주한중국대사관은 전날에도 입장문을 내고 동북공정 논란이 인 개막식 '한복 논란'에 대해 "전통문화(한복)는 한반도의 것이며 또한 중국 조선족의 것"이라고 했다. 조선족 대표에게 한복이 전통 복장인 만큼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었다.
한편 지난 7일 열린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준결승에서 황대헌·이준서가 각각 조 1위와 2위로 결승선을 통과했지만 석연치 않은 판정으로 실격을 당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