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방역업무로 정상적 교육 활동 마비…역학조사, 학교 역할 아니야"
지난해 이동형 PCR 검사 지원 등 대부분 대책, 제대로 추진되지 않아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교사 98.6%가 방역업무 증가로 인해 정상적 교육 활동이 마비될 것이 우된다며 새 학기에 학교 자체 방역체계를 도입하기로 한 정부 방침에 반대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지난 10∼12일 교사 1만232명에게 학교 자체 방역체계 도입 방침에 대한 의견을 물었더니 87%가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11.6%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고 14일 밝혔다.
동의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복수 응답)로 91.8%가 '방역업무 증가로 인해 정상적 교육 활동이 마비될 것이 우려된다'는 점을 꼽았으며 '역학조사는 학교의 역할이 아니다'라는 응답이 79.0%로 뒤를 이었다.
그밖에 '감염 상황 관련 학교 임의 판단에 대한 학부모 불신(66.8%)', '자체 방역체계로는 학교 집단 감염 등에 대응하기 어려움(62.0%)', '허위 답변 등 학교 조사에 대한 신뢰성 보장 불가(54.1%)'도 이유로 꼽혔다.
교육부가 학교별로 등교 여부를 정할 수 있도록 한 방침에 대해서도 94.4%가 동의하지 않았으며, 등교·원격수업 변경 기준으로 '재학생 3% 이상 신규 확진 또는 15% 이상 확진·격리로 등교 중지'를 제시한 데 대해서도 88.3%가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다.
지난해 교육부가 발표한 학교 방역체계 지원대책이 현장에서 제대로 추진됐는지와 관련해, '교원업무 경감'(96.7%), '이동형 PCR 검사 지원'(85.3%) 등 대부분 대책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가장 어려웠던 점으로 80%가 '교육 당국의 잦은 지침 변경'을 꼽았으며 '예측 불가한 온·오프 병행 수업(67.9%)'과 '과중한 학교 업무(67.6%)'가 뒤를 이었다.
전교조가 제시한 보완책 중 '교원업무 정상화 대책 마련'(97.5%), '감염병 관련 출결 업무처리 간소화'(97.3%), '교육지원청 차원의 방역 인력 채용 및 배치'(96.2%), '교육지원청 단위 통합지원팀 조직을 통한 학교 지원'(95.7%) 등에 대한 지지율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