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12일 항공보안에 관한 5년간의 정책을 담은 '제3차 항공보안 기본계획(2022~2026)'을 수립·확정했다고 밝혔다.
제3차 항공보안 기본계획은 대내외 항공보안 환경변화와 동향을 분석하고, 보안검색 현장 등 종사자 의견수렴 및 관계 전문가 자문을 거치는 방식(Bottom-up)으로 계획안을 마련했다.
이번 기본계획에서는 4대 전략목표와 31개 세부 실행과제가 담겼다.
전략 목표를 구체적으로 나눠보면 먼저 '예방적 항공보안체계 구축'이다. 국가 간 분쟁에서 사이버 공격이 적극 활용되고 해킹 기술도 갈수록 지능화되고 있어 첨단 통신망으로 연결된 공항, 항공기 등에 대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한다.
정부 및 유관기관에 분산돼 있는 항공보안정보의 통합, 서면으로 관리되고 있는 감독활동 및 보안사고 현황을 디지털화(~2023년)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테러·사이버공격 등 각종 위협을 평가해 사전 예방할 수 있는 항공 사이버보안 대응전략 수립 및 (가칭)한국형 위험평가·관리시스템을 구축(~2026년)한다.
이와 함께 국내외 테러동향 분석 및 군·경 등과 협업을 위한 테러대응 전담인력 확보, 항공 사이버보안 전문가 육성 등 항공보안 인력의 전문성도 강화한다.
'항공보안 기술 혁신'도 도모한다.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등 신(新)교통수단에 대한 보안검색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첨단장비 개발 등 항공보안 기술을 혁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2025년)한다.
인공지능(AI), 테라헤르츠(THz)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보안검색장비를 개발하는데 5년간 499억원을 투자하고, 김포·김해 등 주요공항에 드론탐지·추적시스템을 지속 구축하고 불법드론을 무력화하는 방안을 마련(~2026년)해 불법드론의 공항 침입에 적극 대응한다.
보안검색 서비스는 이용자 중심으로 개선한다. 보행 상태에서 보안검색이 완료되는 방식(Walk Through)의 장비를 개발해 편리성 뿐만 아니라 검색 시간도 획기적으로 단축(37초→7초)한다.
또 노트북이나 액체류 등은 가방에서 꺼내지 않고도 검색을 할 수 있는 첨단 보안장비를 도입하는데 향후 5년간 1213억원을 투자하고, 항공기 내 불법행위나 위해물품 반입의 위험성 등을 알리기 위해 공항 보안시설 체험존 운영, 대학 등과 연계한 직업 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 참여형 보안문화 확산을 위해 대국민 홍보도 강화한다.
글로벌 리더십도 강화한다. 환승객과 환적수하물 검색면제, 탑승절차 간소화 등 승객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미국 등 외국 항공당국과 보안수준 상호인정을 확대(~2026년)하고, 지난해 선출된 항공보안 전문위원(Aviation Security Panel)을 통해 국제기준 수립에 기여한다는 게획이다.
또 아태지역 개도국 대상 보안기술 공유 및 워크숍 추진 등 항공보안에 관한 리더십 강화와 더불어 국제위상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김용석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항공보안은 국민의 안전을 위해 타협할 수 없는 중요한 분야"라며 "이번 제3차 항공보안 기본계획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항공보안을 선도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국가 항공보안체계를 확립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