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박진 "한반도프로세스 유화 정책 北 도발 못 막아…한미 간 긴밀공조"


입력 2022.04.18 13:50 수정 2022.04.18 13:51        이한나 기자 (im21na@dailian.co.kr)

"北 안보상황 고조, 평화와 안정 역행하는 일"

"한미정상회담 일정 확정 안돼"…조기 회담 개최 필요성 美 공감

"쿼드 워킹 그룹 통해 참여범위 확대 필요"

박진 외교부 장관 후보자 ⓒ사진공동취재단

박진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문재인정부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폐기 여부'와 관련해 "유화 정책만으로는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을 막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진 후보자는 18일 서울 종로구 내수동에 마련된 인사청문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지금은 북한에 대해 실질적인 정책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정부 대북정책의 한계점을 언급한 대목으로 풀이된다.


박 후보자는 "2019년 하노이 회담이 불발로 끝난 이후로 북한은 대화를 거부하고 핵과 미사일 위협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는 취지에도 불구하고 한계를 드러냈다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그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등 북측의 연이은 도발에 대해선 "북한이 이렇게 한반도 안보 상황을 고조시키는 것은 우리 한반도 안보와 평화와 안정에 역행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북한은 지난 16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참관 아래 신형 전술유도무기 발사체 2발을 쏘아 올린 바 있다.


박 후보자는 "한미 간 긴밀한 공조를 통해 북한 도발을 억제하고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강력하게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북한에 대해 압박과 설득으로 정책 일관성을 유지하며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 노력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미정상회담과 관련해선 "일정이나 의제가 확정된 것이 없지만 한미정책협의단이 지난 4월 초순 미국을 방문해서 미국 백악관과 주요 인사들을 만나 윤석열정부가 출범하면 이른 시일 내 한미 정상회담을 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한반도 상황이 엄중하고 국제 정세가 급변하고 있기 때문에 조기에 한미정상회담을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 미국 측도 많은 공감을 표시했다"고 덧붙였다.


박 후보자는 한미정상회담 의제로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재가동 문제가 다뤄질 지에 대해선 "한미 간 확장 억제 강화라는 차원에서 강력한 공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이어 "글로벌 공급망이 급속히 변화하기 때문에 경제안보 그리고 기술동맹의 추진 이런 중요한 과제가 있다"며 "기후변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추진하는 게 양국의 공통 이익"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우크라이나의 민주주의와 평화와 독립을 위해서 한국과 미국 공동으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박 후보자는 미국·일본·호주·인도로 구성된 안보협의체 쿼드(Quad) 참여 추진과 관련해선 "한국이 쿼드 정식 회원은 아니지만 우리가 강점을 가지는 선도적인 분야에서 쿼드와 같은 협력을 확대해 나가는 것은 중요하다"며 "워킹그룹을 통해 코로나19나 기후변화, 신흥 기술 분야에서 한국이 참여 범위를 점차 확대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는 '차기 정부 외교안보 라인이 지나치게 미국에 치우친 것이 아니냐'는 우려 등에 대해선 "경제 통상은 물론이고 문화 교류에 있어서도 중국은 중요한 파트너"라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3월 25일에 중국의 시진핑 주석과 전화로 양국이 상호 존중과 협력의 정신으로 양국 관계를 진전시켜 나가자고 이야기했다. 따라서 그런 생각을 가지고 앞으로 중국과의 고위급 전략적 소통을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한나 기자 (im21n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한나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