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인터넷 은행 가계대출 넉달째 증가...중·저신용 대출↑


입력 2022.05.08 10:52 수정 2022.05.08 10:54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경기 성남시 분당구 카카오뱅크 사옥 전경. ⓒ카카오뱅크

올해 5대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인터넷 은행 3개사의 가계대출 잔액은 넉 달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인터넷 전문은행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3곳의 4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 합계는 37조2718억원으로 3월 말(36조1439억원)보다 1조1279억원 늘었다.


인터넷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올해 1월(1조1916억원), 2월(6580억원), 3월(8114억원)에 이어 4개월 연속 증가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최근 넉 달째 감소세를 보인 것과 대조적이다.


5대 시중은행의 4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702조3917억원으로, 3월 말(703조1937억원)보다 8020억원 줄었다. 이는 올 1월(-1조3634억원)부터 2월(-1조8522억원)과 3월(-2조7436억원)에 이어 4개월 연속 감소한 것이다.


이는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은 늘었지만 신용대출이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인터넷 은행의 경우 특히 중저신용자를 겨냥한 대출이 증가하면서 여신 규모가 꾸준히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5월 인터넷 전문은행이 중·저신용층에 대한 대출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당초 설립 취지와 달리 고신용층 위주의 보수적인 대출 영업을 한다고 지적하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확대를 주문한 바 있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작년 말까지 이 비중이 각각 17.0%, 16.6%를 기록해 목표치에 미달했지만 올해는 이 비중을 끌어올려 최근 20%대로 올라섰다. 작년 말 이 비중이 23.9%였던 토스뱅크는 최근 33%대까지 끌어올렸다.


인터넷 은행이 ‘첫 달 이자 지원’ 등 프로모션을 적극적으로 진행하며 제2금융권 중저신용자들의 대환(대출 갈아타기) 수요도 다수 유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인터넷 은행이 올해 들어 여신 포트폴리오를 본격적으로 확장하는 움직임을 보인 점도 영향을 미쳤다.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