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윤리심판원, 崔 중징계…선거 연패 후 쇄신 차원
강경파 반발 예상…8월 전대 앞두고 후폭풍 불가피
더불어민주당 윤리심판원은 20일 일명 '짤짤이 논란'을 일으킨 최강욱 의원에 대해 중징계인 '6개월 당원 자격정지' 처분을 내렸다. 지난 4월 해당 논란이 제기된 이후 두달여 만에 징계가 확정된 것으로, 민주당이 대선과 지방선거 패배 이후 반성과 쇄신 의지를 드러낸 하나의 사례로 평가된다. 다만 최 의원 지지 기반인 강성 지지층의 반발이 예상돼 후폭풍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윤리심판위원인 김회재 의원은 이날 오후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최 의원에 대한 징계 심의를 한 결과, 당원자격 정지 6개월의 징계를 만장일치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윤리심판원은 이날 오후 4시 30분부터 징계 심의에 돌입했으며, 5시간여 만인 9시 40분께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김 의원은 브리핑에서 징계 배경에 대해 "최 의원이 법사위 온라인 회의에서 여성 보좌진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성희롱성 부적절한 발언을 한 점, 해명하는 과정에서 이를 부인하며 계속하여 피해자들에게 심적 고통을 준 점, 이 건으로 인한 당 내외 파장이 컸고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하여 윤리심판원에 직권조사를 요청한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최 의원은 지난달 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 보좌진들이 참여한 온라인 화상 회의에서 한 남성 동료 의원이 카메라를 켜지 않자 성적인 행위를 연상시키는 발언을 했다고 알려져 논란이 됐다. 그는 사건 후 제보자를 색출하려 했거나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는 2차 가해 의혹도 함께 받고 있다.
최 의원은 논란이 확산하자 "어린 학생들이 '짤짤이'(돈 따먹기 놀이의 은어) 하는 것처럼 그러고 있는 것이냐"라고 말한 것이라며 성적 의미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최 의원은 이날 윤리심판원 회의에 참석해 소명하면서도 성희롱 발언에 대해서는 인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소위를 구성해 피해자에 대한 직접 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자료를 종합적 검토한 결과 사실확정 부분에 대해서는 전체 위원들 사이에 이견이 없었다"고 말했다.
2차 가해 의혹에 대해서는 "그 부분은 명확하게 입증되지 않았다는 것이 위원들의 일치된 의견이었지만 해명하는 과정에서 최 의원이 부인하면서 그것을 진실로 믿는 피해자들에게 심적 고통이 계속 가해졌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무겁게 받아들였다"며 "이 부분도 양정에 충분히 고려됐다"고 언급했다.
윤리심판원의 중징계 결정은 대선과 지방선거 연패 후 쇄신에 대한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는 요구가 당 안팎에서 나온 것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박지현 전 비대위원장은 최 의원에 대한 징계 심의가 이뤄지기 전 "경징계에 그치거나 징계 자체를 미룬다면 국민들은 민주당의 어떤 반성과 쇄신 약속도 믿지 않을 것"이라고 윤리심판원에 엄벌을 공개적으로 촉구하기도 했다.
민주당은 오는 22일 비대위 회의를 열고 윤리심판원의 결정을 보고 받은 뒤 최종 징계를 확정 지을 예정이다. 징계가 확정될 경우 최 의원은 8월 전당대회에 입후보할 수 없으며, 투표권도 박탈된다. 최 의원의 향후 정치 행보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그가 속한 민주당 강경파 초선 모임 '처럼회'의 해체론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강경파를 중심으로 반발이 제기되는 등 최근 팬덤 논란으로 인한 당내 갈등이 격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처럼회 멤버인 김용민 의원은 이날 박 전 위원장을 겨냥한 듯 "지방선거 패배에 결정적 책임이 있는 비대위 구성원들이 선거 과정이나 당의 문제에 대해 남 일 말하듯 발언하는 게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당을 그렇게 이끈 책임이 자기에게 있는데도 평론가 모드로 일관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라고 비판한 바 있다.
최 의원은 윤리심판원의 징계 결정이 발표된 뒤 당사를 나가면서 '충분히 소명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잘 말씀드렸다"면서도 징계 결과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