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원 수석부회장, 삼성전자 전시관 방문해 '스마트싱스' 열공
에너지 절감 솔루션, 스마트싱스 스테이션 등에 높은 관심
최재원 SK 수석부회장에게 'CES 2023'은 자사의 브랜드와 비전을 알리는 자리만은 아니었다. 그는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외 다양한 업종의 전시관을 둘러보며 새해 기술 트렌드를 습득하느라 분주한 개막 첫날을 보냈다.
최 부회장은 5일(현지시간) 오전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내 마련된 주요 테크 기업 전시관을 잇따라 방문하며 다양한 혁신 기술과 제품들을 둘러봤다.
특히 삼성전자 전시관에서는 맞춤형 연결을 지향하는 '스마트싱스(SmartThings)'를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이 최 부회장을 맞아 전시관 곳곳을 안내해 눈길을 끌었다.
최재원 부회장은 스마트싱스에 연결된 기기들의 소모 전력량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싱스 에너지'와 'AI 에너지 모드' 등 에너지 절감 솔루션에 관심을 보였다. 이 기능은 집안 내 TV 맵뷰를 통해 각 디바이스(기기)들의 에너지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한 뒤, 필요하다면 AI 에너지 모드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한종희 부회장은 "이게 자동으로 연결돼 각 기기마다 쓰는 전력량을 보여준다. 전원이 꺼지면 여기서 전원 꺼진 상태로 나타나고 가정에서 이걸 다 컨트롤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 부회장이 "가전제품이 다 연결돼 있는 거냐"고 묻자 한 부회장은 "다 연결돼 있다. 스마트싱스와 연결시켜 놓은 것"이라고 답했다.
삼성전자는 파타고니아와의 협업을 통해 세탁 과정에서 미세 플라스틱 발생량을 최대 54%까지(유럽 기준) 저감할 수 있는 미세 플라스틱 저감 코스도 개발해 전시하고 있다. 양사는 미세 플라스틱 저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세탁기 외부 필터 ‘미세 플라스틱 저감 필터’도 새롭게 개발해 올해 유럽 시장에 도입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최 부회장이 "(미세 플라스틱을) 어느 정도까지 걸러주는 것이냐"고 묻자, 한 부회장은 "마이크로 단위까지 걸러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 부회장은 집안에서의 초연결 경험을 보다 용이하게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스마트싱스 허브 ‘스마트싱스 스테이션(SmartThings Station)’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였다.
삼성의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은 작고 편리한 스마트싱스 허브로 무선 충전기에 내장돼 있는 형태다. 스마트 홈 IoT 연동 표준인 매터(Matter)를 지원함으로써 삼성전자, 구글, 아마존, 애플 등 다양한 제조사들의 스마트 홈 관련 기기를 쉽게 연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종희 부회장은 "와이파이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알아야 하는 데, 여기서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을) 자동으로 켜면 삼성 기기를 자동으로 연결해 생활가전이나 TV, 모바일 다 연결되게 해놨다"면서 "기기끼리 데이터를 계속 교환하면서 소비자들을 편리하게 해준다"고 설명했다.
최 부회장이 "할 수 있는게 아주 많다"고 하자, 한 부회장은 "기기들이 워낙 많다 보니까"라고 했다. 그러면서 한 부회장은 "사람들이 허브를 사야하는지 모른다. 우리는 허브 기능을 TV, 냉장고 탭에 다 넣어놔 허브끼리 연결한다. 허브 없이 쓸 수 있는 내장된 제품들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의 강점이 극대화되도록 삼성전자 기기 뿐 아니라 300여개 파트너사의 약 3000종의 제품을 지원하고있다.
한 부회장은 "지속적으로 기기들이 얼라이언스에 가입하고 있다. 삼성 것만 쓰면 좋겠지만 LG, 외국 브랜드 제품까지 컨트롤해 모든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조만간 다 실용화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에 최 부회장은 "더 편해지겠다"고 답하며 "감사하다. 잘 봤다"고 소감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