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마르코스 대통령과 정상회담
"바탄 원전 재개 타당성 조사 MOU…원전 협력 강화"
"한·필리핀 FTA 조속히 발효…무역·투자 촉진키로"
"남중국해 평화·안정 공감…규칙 기반 해양 질서 확립"
우리나라와 필리핀이 수교한지 75년 만에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하고 에너지·해양·방산·디지털 등 미래지향적 분야의 전략적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필리핀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후 공동언론발표에서 "오늘 저와 마르코스 대통령은 양국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해서 한·필리핀 관계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양국은 안보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며 "필리핀의 군 현대화 3단계 사업에 한국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오늘 체결된 해양 협력 MOU(양해각서)를 통해 해상 초국가 범죄 대응, 정보 교환, 수색 구조와 같은 해양안보 협력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양국 간 경제 협력과 관련해선 "양국 국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실질 협력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며 "이를 위해 작년 9월 서명된 한·필리핀 FTA(자유무역협정)를 조속히 발효시켜 양국의 무역과 투자를 촉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양국 정부는 라구나 호수 순환도로와 PGN 해상교량 건설 사업에 대한 MOU를 체결하고, 해당 사업들을 한국의 EDCF(대외경제협력기금)을 활용하여 추진하기로 했다"며 "이 두 사업은 지원 규모가 각각 10억불 상당으로 EDCF 사업 기준 역대 1, 2위의 대형 개발협력 사업이며, 우리 기업들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 두 정상은 무탄소 에너지원으로서 원전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이번 '바탄 원전 재개 타당성 조사 MOU' 체결을 계기로 양국 간 원전 협력 기반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공동언론발표에 앞서 두 정상은 한국수력원자력과 필리핀 에너지부 간 한국수력원자력과 필리핀 에너지부 간 '바탄 원전 건설 재개 타당성 조사 협력 양해각서' 체결식에 임석했다.
바탄 원전은 지난 1986년 완공 직전 체르노빌 원전 사고의 여파로 공사가 중단됐으나, 지난 2022년 취임한 마르코스 대통령은 고질적인 전력난 해소를 위해 바탄 원전 가동을 추진하기로 하고 우리 정부에 도움을 요청했다.
북핵·남중국해 문제 등 지역 및 국제 문제에 대해서도 두 정상은 공감대를 형성했다.
윤 대통령은 "마르코스 대통령과 저는 북한의 핵 개발과 무모한 도발, 그리고 불법적인 러·북 군사 협력을 국제사회가 절대 용인하지 않을 것임을 재확인하고 앞으로도 북한 비핵화와 안보리 결의의 충실한 이행을 위해 계속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마르코스 대통령은 우리의 '8·15 통일 독트린'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으며, 자유·평화·번영의 통일 한반도가 세계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리라는 점에 대해 저와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필리핀과 중국이 영유권 분쟁을 일으키고 있는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선 "두 정상은 역내 핵심 해상교통로인 남중국해의 평화, 안정, 안전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공감했다"며 "이러한 차원에서 양국은 남중국해상 규칙 기반 해양 질서의 확립과 국제법 원칙에 따른 항행 및 상공 비행의 자유를 위해 계속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